고육대차산과 신육대차산
서쌍판납 지역의 고육대차산과 신육대차산
고육대차산
고육대차산(강북 6대차산) 비교
구분 |
유락 |
의방 |
망지 |
혁등 |
만전 |
이무 |
수종특성 |
중엽종에 가까운 대엽종 |
소엽종중심의 여러수종 |
소엽중 |
소엽종, 대엽종 |
대엽종 |
전형적인 대엽종 |
탕색(신차) |
투명한 금황색 |
연한금황색에 약한 녹색기 |
맑은 탕색에 연한 노랑 |
투명한 금황색 |
진한 금황색 |
진한 금황색 |
맛 |
부드럽고 함축적이다 |
맑고 순수하며밝다 |
밝고 부드럽다 |
부드럽고 깊은 여운 |
진하며 깊고 넓은 맛 |
부드럽고 깊은 감칠 맛 |
향 |
청향,꽃향 |
청향,난향 |
청향 |
청향,밀향 |
밀향, 난향 |
난향,밀향 |
특성 |
시간이 갈수록 개성있는 향이 난다 |
맑고 깔끔하며섬세한 운이일품이다. |
소엽종 특유의 향 |
깊이와 여운의 조화 |
그윽하고 깊은 여운 |
난향을 중심으로 향과 맛의 하모니
|
신육대차산
맹해차산(신6대차산,강남 6대차산) 특성비교
구분 |
남나 |
포랑 |
맹송 |
파달 |
경매 |
남교 |
수종특성 |
전형적인 대엽종 |
전형적인 대엽종 |
전형적인 대엽종 |
전형적인 대엽종 |
중엽종에 가까운 대엽종 |
관목 개량종 |
탕색(신차) |
진한 황금색 |
진한 황금색 |
맑은 황금색 |
맑은 황금색 |
투명한 황금색 |
|
맛 |
강하고 진한 남성적인 맛 |
진하고 깊은 여운 |
밝고 진함 |
맑고 개성적임 |
달고 부드러움 |
|
향 |
꽃향, 과일향 |
꽃향, 밀향 |
꽃향, 밀향 |
매실향 |
밝은 꽃향 |
|
특성 |
깊고 진한 맛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
깊이,다양성,폭등에서 특성을 나타낸다 |
잠재된 깊은 맛과 향이 서서히 나타난다 |
밝고 부드러운 가운데 개성이 숨어 있다 |
화려하고 외향적인 풍부한 세계를 보여준다. |
|
ㆍ 맹해에는 신6대차산이외에도 파사, 경홍의 맹송산(소맹송),만나등을 비롯하여 거의 모든 산에
규모의 차이가 있을지언정 고품질의 차를 만들수 있는 고차수가 산재하고 있다.
고6대차산과 신6대차산의 비교
구분 |
수종 |
탕색 |
스타일 |
향 |
맛 |
비고 |
고6대차산 (강북) |
다양 |
다양 (수종에 따라) |
다양 (수종) |
청향,난향 위주 |
부드럽고 여운이 깊다. |
보이공차의 원료(후숙) |
신6대차산 (강남) |
통일 |
통일 (진한 황금색) |
다양 (개성) |
밀향,꽃향 과일향 |
강하고 진하며 회감이좋다. |
현대보이차의총아 (월진월향) |
ㆍ 맹랍현의 고6대차산 : 차기는 강하나 쓰고 떫은 맛이 적고 부드럽다
ㆍ 맹해현의 신6대차산 : 차기도 강하며 쓰고 떫은 맛도 상대적으로 강한 편이다.
출처- "고차수로 떠나는 보이차여행"에서 부분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