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운남성 보이차산 총람-2013

거목 2020. 3. 23. 23:51

보이(洱茶) 지리 표지 산품의 보호 범위는 운남성(云南省) 서쌍판납주(西双版纳州), 보이시(普洱市), 임창시
(临沧市), 보산시(保山市) 등 11개 주시(州市) 소속의 639개 향진(乡镇)이다. 이 4대 차구(茶区)는 운남성 서부
및 남부 변경 지역의 난창강(澜沧江) 양안(两岸)에 분포하고 있으며, 미얀마, 라오스 등과 접경을 이루고 있다.
사실상 보이(普洱)는 일정 특정 지역에서만 나오는 차의 일종이다. 2008년에 반포된 최신 국가표준 《지리
표지산품 보이차(地理标志产品普洱茶)》(GB/T22111—2008)에 의하면,보이차(普洱茶)는 지리표지 보
호 범위 내의 운남대엽종(云南大叶种) 쇄청차(晒青茶)를 원료로 지리표지 보호 범위 내에서 채용되는 특정 가공
기법으로 제조하여 그 독특한 품질을 특징으로 하는 다엽(茶叶)으로 정의되어 있다.


이는 보이차(普洱茶)라고 부르기 위해서는 보이차(普洱茶) 제조를 위한 특정 가공 기법을 제외하고라도 还
必须具备两个条件:원료와 가공을 모두 지리표지 보호 범위 내로 제한한 두가지 조건을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함을 뜻한다.
바로 이들 소수민족이 모여 사는 신비한 지역이 차의 발원지로 논증되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차(茶)”와
관련된 음용품은 모두 운남에서 전파되어 나간 것이라 할 수 있다. 명청(明清) 양대(两代)에 正是 보이차(普洱
茶)는 빛나는 시대를 구가하였으며 재배형 차수(栽培型茶树)를 대규모로 또한 조직적으로 재배하였고 아울러 이
두 왕조 시대에 역사적인 장거를 이루었다. 지금도 난창강(澜沧江) 유역 해발 1000m 이상되는 고지대의 산림 중
에는 역사의 풍파와 자연 재해를 겪은 고다원(古茶园)이 의연히 울울창창하게 대단위로 분포하고 있거나 혹은 단
주(单株)로 산재하여 생장하고 있다. 운남(云南)에는 아직도 야생차수군락(野生茶树群落)과 고다원(古茶园)이
27만묘(万亩) 이상남아 있다.


1. 서쌍판납 판납차구 西双版纳版纳茶区综述


서쌍판납(西双版纳)은 “12개 천묘(十二个千亩)"를 뜻하는데 여기서 12는 태족어(傣语)로 “西双”이라 읽으며, “千亩”는 징세와 부역을 위한 하나의 행정 단위를 가리킨다. 현재 서쌍판납(西双版纳)의 고다원(古茶园)은 족히 8.2만묘(万亩) 정도는 되며,두 현(县)과 한 시(市)에 속한 19개 향진(乡镇)의 100 여개 촌채(村寨) 중에 분포되어 있다. 판납차구(版纳茶区)는 보이차 생산 역사가 가장 오래 되고 생산량도 가장 많은 지역 중의 하나이다. 맹해현(勐海县), 맹랍현(勐腊县), 경홍시(景洪市)의 2현(县)1시(市)를 관할한다. 유명한 “맹해차창(勐海茶厂)”이 맹해(勐海)에서 창설되었으며,청대(清代)에 한때 이름 높았던 “육대차산(六大茶山)”은 주로 맹랍현(勐腊县)에 분포되어 있다. (다만 그 중의 유락차산(攸乐茶山)은 경홍시(景洪市)에 있다.)
서쌍판납 고차산 분포(난창강 이동 6좌, 이서 8좌) 西双版纳古茶山分布(澜沧江以东6座,以西8座)상술한 14대 고차산은 난창강 이서(以西)의 맹해현에 7개소, 이동(以东)의 맹랍현에 5개소, 경홍시의 강서 지역에 1개소, 강동 지역에 1개소 분포되어 있다. 고차수의 수령은 100년에서 1700년까지 다양하나 주로 200~500 년 사이가 많다.


1.1 고육대차산 古六大茶山:


면적은 2000 평방킬로미터 이상으로 이무(만살), 의방, 만전, 혁등, 망지, 유락으로 나누어진다. 面积两千多平方公里,分别为:易武(慢撒)、倚邦、蛮砖、革登、莽枝、攸乐。
판납 경내의 고육대차산은 청대 보이차의 주요 산출지이자 당시 중원에서 보이차의 창구로 알려져 있었다.
사적에 기재된 바에 의해 육대차산의 구체적인 장소를 표정하자면 이무(만살), 의방, 만전, 혁등, 망지, 유락이며 면적은 2000 평방킬로미터 이상으로 서쌍판납의 동부, 난창강 동안에 분포한다.


(1) 차산명 : 이무(만살) 易武(慢撒)
지명의 의미 : “美女蛇居住之地”
차산 지리 : 이무정산(易武正山), 만살차산(漫撒茶山), 만랍차산(曼腊茶山) 등을 포괄한다. 이무 맹랍 현성(县城)에서 북쪽으로 110km 정도 떨어져 있다. 연평균기온은 17.2도, 평균강수량은 1500~1900mm 이다. 만살은 이무의 북측에 있는데 이 역시 이무차구(易武茶区)에 속한다.
고수산지 : 이무(易武), 만살(慢潵), 마흑(麻黑), 낙수동(落水洞), 괄풍채(刮风寨), 노정가채(老丁家寨), 만
수(曼秀), 대칠수(大漆树) 등
차산 역사 : 이무에서는 일찌기 천년 이전에 예전의 복인(古濮人)이 차나무를 재배하였으며, 명말청초 이후
연이어 육대차산의 명성이 드높아져 이 때부터 외지인이 대규모로 이주해 와 차사업에 종사하였다. 초기에는 만살(慢潵) 지구의 생산량이 가장 많았으나 이런저런 사정으로 그 후에는 중심이 이무(易武)로 넘어갔다. 청말 시기에는 홍경호(鸿庆号), 동경호(同庆号), 동흥호(同兴号), 안락호(安乐号), 건리정호(乾利贞号) 등 보이차 역사상 유명한 차장이 더러 출현하였다.
고수(古树) 현황 : 고육대차산 중 면적도 최대이고 산량도 최대이다. 청조 후기 이래 줄곧 보이차의 주요 산
지이다. 현재 이무차구에는 소량의 왜화(矮化)되지 않은 고수와 대량의 왜화(矮化)된 고수 다원(古树茶园)이 있다. 이들 다원의 자연환경은 비교적 양호하여 차의 산장(山场) 기운(气韵)을 보증한다. 하지만 이무차(易武茶)의 이름이 일찍부터 알려져 과도한 채적 및 적절한 보호를 하지 못해 근래 들어 차의 품질이 떨어져 있다. 이에 더해 시장에는 모방품도 비교적 많아 자세한 감별이 필요하다.
차의 품질 : 찻물이 유하고 순활하다. 구감이 맑고 달다. 고삽미가 비교적 적고 회감이 상대적으로 좋다. "차
중황후"의 별칭을 갖고 있다. 茶质特色:易武茶汤水柔和顺滑,口感清甜,苦涩感较弱,回甘较好。有“茶
中皇后”的称号。


(2) 茶山名:의방(倚邦)
지명의 의미 : “차나무와 우물이 있는 곳(有茶树、水井之地)”
차산 지리 : 맹랍현(勐腊县) 최북단,상명향(象明乡) 관할 구역 내에 속해 있으며 19개 자연촌(自然村)을 포괄한다. 면적은 360 평방 km이고 해발 고도 차이가 비교적 커 600 m에서 1900 m에 이르는 구역에 차나무가 모두 분포하고 있다. 그 중 만송차산(曼松茶山)은 해발 1340m 이다.
고수산지:의방(倚邦), 만송(曼松), 만공(曼拱), 마율수(麻栗树), 습공(嶍崆), 가포(架布) 등
차산 역사 :의방차구(倚邦茶区)는 역사가 오래 되었으며 지금도 일정량 이상의 500년 이상된 고수(古树)를 보유하고 있다. 특히 청대(清代)에 만송차(曼松茶)는 공차(贡茶)로 지정되어 의방차(倚邦茶)의 이름을 널리
알렸다. “만송에 의지하여 의방을 지키다(吃曼松,看倚邦)”는 말이 있듯이 지금도 수많은 사람들이 열광적으로 성원하고 있다.
고수(古树) 현황:의방차구(倚邦茶区)의 특이점은 대엽종(大叶种)과 소엽종(小叶种) 차나무가 혼재하여
생장하고 있다는데 있다. 만공((曼拱), 의방(倚邦), 마율수(麻栗树) 등지에는 아직도 소규모의 고다원(古茶园)
이 보존되어 있는데, 그 중에는 중소엽종(中小叶种)의 고수(古树)가 적지 않다. 유명한 만송차구(曼松茶区)는
벌목 등에 의한 다원 파괴로 인해 잔존되어 있는 고수(古树)의 양이 아주 적다. 바로 이 이유로 만송고수(曼松古树)에서 딴 차를 하나라도 구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실제로 소매 시장에서 이 차를 만나볼 가능성은 없다고 할 것이다.
차의 품질:의방(倚邦) 고수차(古树茶)는 중소엽종(中小叶种)인 관계로 쓴 맛이 아주 약하고(苦味很淡)
쓴 맛에 비해 떫은 맛이 다소 뚜렷하며(涩比苦略显), 회감이 빠르고(回甘较快),향이 독특한데(香气独特),아주 약간의 밀운이 있다(微有蜜韵). 그 중 만송차(曼松茶)는 고삽미가 적고(苦涩不显), 탕질은 첨활 포만하며(汤质甜滑饱满), 찻잔 바닥에 남은 향이 오래도록 지속된다(杯底留香幽长).


(3) 茶山名:만전(蛮专),또는 “만장(曼庄)”이라 부르기도 함

지명의 의미 :“큰 마을(大寨子)”
차산 지리 :맹랍현(勐腊县) 상명향(象明乡) 남부,동부는 이무차구(易武茶区)와 접하고 있으며,면적은
약 300평방 km이다. 해발고도는 1100m 전후이다.
고수산지:만장(曼庄), 만림(曼林), 만천(曼迁), 팔총채(八总寨), 습공(嶍崆), 가포(架布) 등
* 예전에는 가포(架布)와 습공(嶍崆)이 모두 의방차산에 속했었으나 40여년 전 가포(架布)가 대하변(大河边)
으로 명칭이 바뀌면서 이 두 곳이 모두 만전차산의 범위 내로 소속되었다. 이 곳의 일부 지역에서는 차나무에 가지 치기(修剪)는 물론 비료나 농약 등도 뿌리지 않아(不施肥打药) 자연 상태의 야산에서 그대로 자라고 있는데 여기서 채취한 차를 황산차(荒山茶)로 부르고 있다.
차산 역사 :만전(曼专)의 종차(种茶) 역사는 유구하여 이미 청대(清代)에 명성이 높았으며,《본초습유 (本草拾遗)》및 《전해우형지(滇海虞衡志)》에 모두 육대차산에 대해 언급하기를 “의방차보다 만전차의 맛 이 낫다(以倚邦、蛮专者味较胜)”고 기록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다원(茶园)은 많았으나 차상(茶号: 茶商)은 적었다. 청말민초(清末民初: 청나라 말기에서 중화민국 설립 초기) 시기에는 이무(易武)의 차상(茶号)에 차를 대량으로 공급하여 가공하였는데 “이무칠자병차의 절반은 만전차(易武七子饼一半是蛮砖茶)”로 알려졌다.
고수(古树) 현황:결론적으로 만전차구(蛮专茶区)는 서쌍판납(西双版纳) 고육대차산(古六大茶山) 중 고수(古树) 자원이 가장 잘 보존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노수(老树)가 많이 보존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생태 환경도
잘 보존되어 있어 이 노수(老树)들이 기본적으로 왜화(矮化)되지 않았다. 그러나 근래 들어 우려되는 경향이나타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다원(茶园)의 큰 차나무들을 벌목하는 사례가 늘었는데 이는 차의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차의 품질 : 탕질포만순후(汤质饱满厚滑), 산운과 야생의 기가 다소 강함(山野气韵较强), 찻잔 바닥에 배
인 향이 오래 지속됨(杯底留香持久), 회감이 빠르고도 오래 지속됨(回甘快而持久), 고삽미가 비교적 덜함(苦涩较轻), 후운이 깊음(喉韵深沉).


(4) 茶山名:혁등 (革登)
지명의 의미 :“아주 높은 곳(很高之地)”
차산 지리 :맹랍현(勐腊县) 상명향(象明乡) 안락촌(安乐村),망지(莽枝)와 의방차구(倚邦茶区) 사이.
해발 고도 1300m 전후.
고수산지:치방(值蚌), 신발(新发)
차산 역사 :육대차산 중 면적이 가장 작으며,《보이부지(普洱府志)》에 의하면 특대 차왕수(茶王树) 한
그루가 있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지금은 없으며 현재 가장 심하게 손상된 고차산(古茶山) 중의 한 곳이다.
고수(古树) 현황:고다원(古茶园)은 이미 파괴되어 부분적으로 밀림 중에 보존되어 있는 정도이나 근래에
잘 정리되었으며 대소엽종(大小叶种)이 혼재하고 있다.
차의 품질:산운이 뚜렷하고(山韵明显) 고삽미가 적고(苦涩较弱) 회감이 좋으며(回甘较好) 탕질이 순활
하다(汤质顺滑).


(5) 茶山名:망지 (莽枝)
지명의 의미 :“제갈량(诸葛亮)이 (구리로 만든 와족의 타악기인) 동망을 묻은 곳(诸葛亮 埋铜铓之地)”
차산 지리 :혁등차산(革登茶山) 서남,혁등(革登)과 같이 맹랍현(勐腊县) 상명향(象明乡) 안락촌(安乐
村)에 속해 있으며,해발은 1400m 전후이다.
고수산지:앙림(秧林), 홍토파(红土坡), 만아(曼丫), 강서만(江西湾), 구탈(口夺) 등
차산 역사 :이미 천년 전에 소수민족이 이 곳에 거주하며 차를 재배하였는데 적어도 원대(元代)에는 다원
(茶园)이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청국 초기((清初)에는 망지차산(莽枝茶山)의 우곤당(牛滚塘)이 육대차산(六
大茶山) 북부 지역의 중요한 다엽(茶叶) 집산지로 되었다. 청(清) 옹정(雍正) 시기에는 우곤당사건(牛滚塘事件)과 세습 족장인 토사(土司)에 의한 문제점으로 서쌍판납(西双版纳) 지역에 대해, 지방 토호세력의 중앙정부로의 복속화를 의미하는 개토귀류(改土归流) 정책을 시행함으로써 보이부(普洱府)가 설립되었는데 이로써 육대차산(六大茶山)에 의한 보이차(普洱茶)의 번영기가 도래하게 되었다.
고수(古树) 현황:망지고차산(莽枝古茶山)은 이미 많이 훼손되어 있는 상태이며 더욱이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오래된 차나무 숲 중에 있는 큰 차나무들을 벌목까지 한 상황이다. 고수차(古树茶)의 품질은 확실히 떨어졌다. 
차의 품질:혁등차(革登茶)와 비슷한데 차기가 약간 떨어진다(茶气稍逊). 고삽미는 다소 약하고(苦涩较
弱), 회감은 빠르며(回甘较快), 찻잔 바닥의 향도 좋다(杯底香较好).


(6) 茶山名:유락 (攸乐)
지명의 의미 :기락족(基诺族)이 대대로 사는 곳,기락족(基诺族)은 과거에 유락인(攸乐人)으로 불리었음.
차산 지리 :경홍시(景洪市) 기락향(基诺乡)에 있는, 동서 거리 75km 남북 50km에 걸친 기락산(基诺山)은 고육대차산(古六大茶山) 중 현존 최대의 고수차구(古树茶区)로, 해발고도는 575~1691m, 평균기온 18-20
도, 연강수량은1400mm이다.
고수산지:용파(龙帕), 사토노채(司土老寨), 마탁(么卓), 파표(巴飘) 등
차산 역사 :기락인(基诺人)은 제갈량(诸葛亮) 군대의 후예라 하는 전설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락산
(基诺山)에서 차를 재배한 역사가 아주 오래 되었다. 청대(清代)에 유락산(攸乐山)의 차 생산량은 아주 많았는데 모료(毛料)는 주로 이무(易武), 의방(倚邦) 등지로 공급되어 가공되었다. 유명한 “가이흥(可以兴)” 차전(茶砖) 은 바로 유락차(攸乐茶)를 사용하여 만든 것이다.
고수(古树) 현황:고다원(古茶园)은 해발 1200 m에서 1500 m 사이에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면적은 약
3000묘(亩) 정도인데 거의 100년 정도 되는 고수(古树)가 아주 많이 보존되어 있다. 교통이 편리하여 근래 들어 과도채적(过度采摘)의 경향이 나타나 차의 품질이 떨어지고 있다.
차의 품질:이무(易武) 차에 가까우나 고삽미가 양간 세다(苦涩略重). 회감이 좋고(回甘较好), 산운이 뚜렷하나(山韵明显), 수질은 약간 엷다(水质略薄).


1.2 신 8대차산
나중에 개발된 8대차산은 난창강(澜沧江) 서쪽에 자리하며 북쪽에서 남쪽으로 만나(曼糯), 맹해 맹송(勐海勐宋), 남나산(南糯山), 파사(帕沙), 하개(贺开), 포랑산(布朗山), 경홍 맹송(景洪勐宋)이 있으며 서부에 파달(巴达)이 있다.


(1) 茶山名:만나 (曼糯)
차산 지리:맹해현(勐海县) 최북단에 위치하며 맹왕향(勐往乡) 맹왕촌(勐往村)에 속하는데,보이(普洱)시의 난창(澜沧) 및 사모(思茅) 구(区)와 인접해 있다. 이 곳은 난창강(澜沧江)이 보이시(普洱市)에서 나와 서쌍
판납(西双版纳)으로 들어오는 첫번째 장소이다. 해발은 1200-1300 m 이고 연강수량은 1300-1400 mm이다.
고수산지:대채(大寨), 상채(上寨), 중채(中寨)의 세 마을(寨子)이 주요 산지이다.
차산 역사 :이 곳은 이전에 맹해(勐海)에서 난창(澜沧)으로 통하는 옛길(古道)로,역사적으로 이미 보이
차(普洱茶)의 중요한 생산지구였다. 후에 맹해(勐海)에서 난창(澜沧)으로 통하는 길이 바뀌어 만나 차구(曼糯茶区)는 점차 쇠락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곳에는 아직도 대량의 고차수(古茶树) 자원이 보존되어 있다.
고수(古树) 현황:만나(曼糯) 고차산(古茶山)은 지난 세기 5,60년대에 이미 상당히 훼손되어 수많은 고수
(古树)들이 벌목되어 양곡 종자를 재배하는 상황이 되었다. 현재는 2000묘(亩) 정도의 고다원이 보존되어 있다. 차산(茶山)의 환경도 훼손되었고 식생(植被)은 비교적 단일하다.
차의 품질:산운과 야생의 기가 뚜렷함(山野气韵清晰), 고삽미가 뚜렷함(苦涩明显), 회감은 다소 늦음(回
甘较慢), 향기가 짙음(香气较浓郁).


(2) 茶山名:맹송 (勐宋)(勐海)
지명의 의미 :“산 정상의 평지(山顶上的坝子)”
차산 지리:맹해현(勐海县) 맹송향(勐宋乡)에 위치하며,동쪽으로는 경홍시(景洪市)와 붙어있고,남쪽으로는 격랑화향(格朗和乡)으로 이어지며, 유사하(流沙河)를 사이에 두고 남나산(南糯山)과 마주보고 있다. 그 중 나카 차구(那卡茶区)의 해발고도는 1600 m이고 보당 차구(保塘茶区)는 해발 1700-1800 m이다. 연강수량 은 1400 mm이다.
고수 산지:대안(大安), 남본(南本), 보당신채(保塘新寨), 보당구채(保塘旧寨), 패몽(坝檬), 대만려(大曼
吕), 나카(那卡 : 腊卡)
차산 역사 :맹송은 맹해(勐海)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고차구(古茶区) 중의 한 곳이고,나카(那卡) 또한 판
납(版纳)에서 가장 이름을 날린 다엽 생산지 중의 한 곳으로서,100여년 전 한족(汉人)이 이주해 와 차 사업에 종사하였다. 대만려(大曼吕) 등지에서는 20세기 7,80 년대에 신식다원(新式茶园)이 조성되어 맹해차창(勐海茶厂)의 중요한 원료 공급지로 되었다.
고수(古树) 현황:맹송(勐宋) 지구에는 현재 3000묘(亩) 정도의 고다원(古茶园)이 남아 있다. 그 중 나카
차(那卡茶)가 가장 유명하고 보당차구(保塘茶区)가 가장 잘 보호되어 있다. 나카(那卡)에는 300여묘의 고다원(古茶园)이 있는데 그 재배밀도가 비교적 높고,그 중 소엽종(小叶种)이 일정 정도 혼생하고 있다. 보당(保塘)
고차구(古茶区)는 삼림 지대에 관목(灌木)이 공생하고 있는데,그 분포밀도가 비교적 낮아 삼림 중에 산포되어 있다. 또한 비교적 굵은 노수(老树)도 어느 정도 보존되어 있다.
차의 품질:나카(那卡), 보당(保塘) 등의 고수차(古树茶)는 보편적으로 차향(茶香)이 순정(纯正)하고, 고
삽미가 뚜렷하며(苦涩明显), 산운과 야생의 기가 강하고(山野气韵强),회감은 다소 늦다(回甘较慢).


(3) 茶山名:남나산 (南糯山)
지명의 의미 :“순장(을 만드는 곳) (产)笋酱(之地)”
차산 지리:맹해현(勐海县) 격랑화향(格朗和乡)에 위치하며,경홍(景洪)에서 맹해(勐海)로 가는 국도(公
路) 변에 있는데 맹해현성(勐海县城)에서 24 km 거리이다. 평균 해발 1400 m,연강수량 1500-1750mm, 평균
기온 16-18도이다.
고수산지:죽림채(竹林寨), 반파채(半坡寨), 고랑채(姑娘寨) 등
차산 역사 :남나산(南糯山)의 종차(种茶) 즉 차 재배의 역사는 유구할 뿐만 아니라 그 명성도 높으며, 전설
에 의하면 제갈량(诸葛亮)이 남정(南征)시 차를 재배시켰다고 한다. 비록 이 이야기가 전설이기는 하나 고복인 (古濮人)에 의한 종차(种茶) 역사는 아주 오래되었으며 그 후 하니족(哈尼人)이 이주해 와 남나산(南糯山)에서 차를 재배하기 시작하였다고 알려져 있으며,남나산(南糯山) 반파채(半坡寨)의 차수왕(茶树王)이 바로 그 역사적 증거이다. 중화민국(民国) 및 신중국(新中国) 성립 후 이 지역은 보이차(普洱茶)의 중요한 생산지로 되었으며, 민국(民国) 시기에 이 곳이 운남(云南) 기기제다(机器制茶)의 발상지로 되었다. 80년대의 대규모 다원(茶园) 개발시 일부 고수(古树)가 훼손되었다.
고수(古树) 현황:현재 남나산(南糯山) 고다원(古茶园)의 면적은 약 12000묘(亩)로,판납(版纳) 지구에서 가장 유명하고 가장 큰 고차산(古茶山)이다. 고다원(古茶园)은 9개소의 자연촌(自然村)에 분포되어 있는데,이와 같이 넓은 지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연유로 각 마을에서 생산된 차의 구감(口感)은 서로 달라 어느 정
도 차이를 보이는데 반파노채(半坡老寨)의 차가 가장 유명하다. 누대에 걸친 역사적 변천 과정에서 남나산(南糯山)은 고수(古树)와 왜화노수(矮化老树) 그리고 대지차(台地茶)가 병존하게 되면서 고수차(古树茶)의 품질이떨어지게 되었다.
차의 품질:탕질 포만(汤质饱满), 회감은 비교적 빠름(回甘较快), 산야기운 비교적 두드러짐(山野气韵较). 전통적으로 남나산(南糯山) 차의 향기는 비교적 포만함을 느낄 수 있으며(茶香气较饱满), 고삽미가 뚜렷하나(苦涩明显), 근래에 이르러 고삽미가 다소 약해지고 향기도 다소 떨어짐(近年来苦涩较弱,香气较不显).


(4) 茶山名:파사 (帕沙)
지명의 의미 :“일좌산 일조하(一座山,一条河)”
차산 지리:맹해현(勐海县) 격랑화향(格朗和乡) 서남의 파사촌(帕沙村)은 남나산(南糯山)과 포랑산(布朗山) 사이에 위치하는데 해발은 1200-2000m,평균기온 22℃,연강우량은 1500 mm 이다.
고수산지:파사신채(帕沙新寨), 파사노채(帕沙老寨), 파사중채(帕沙中寨), 남간(南干), 노서(老端) 등
차산 역사 :파사촌(帕沙村)은 당송(唐宋) 시기에 이미 하니족(哈尼) 선주민이 거주하며 차를 재배하였는
데 현재에도 상당량의 고수(古树)가 보존되어 있다.
고수(古树) 현황:파사(帕沙)에는 현재 2900묘(亩) 정도의 고다원(古茶园)이 있는데,각 채자(寨子)에는 모두 어느 정도의 고수(古树) 자원이 있다. 기백년(几百年) 수령의 고수(古树)도 많이 남아 있고, 대수(大树)가
일종의 군락을 이루고 있으며,기본적으로 왜화(矮化)되지 않아 잘 보호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 중 파사노채(帕沙老寨)의 고수차(古树茶)가 비교적 유명하다.
차의 품질:파사(帕沙) 고수(古树) 차는 고삽미가 뚜렷하나(苦涩明显), 이 맛이 풀려(但可以化开),맑고
단 맛도 뚜렷해 지고(清甜亦显), 침이 잘 고이며(生津明显), 산운과 야생의 기도 충분하다(山野韵足).


(5) 茶山名:하개 (贺开)
지명의 의미 :“가장 먼저 해를 볼 수 있는 곳(最先看到太阳之地)”
차산 지리:맹해현(勐海县) 맹혼진(勐混镇)의 하개촌(贺开村)은 북으로는 유명한 고차산(古茶山)인 남나
산 차구(南糯山茶区)와 이어지며,동으로는 납달맹 저수지(拉达勐水库)와 이웃하고,서쪽으로는 맹혼 평지
(勐混坝子)를 바라보고 있다. 해발은 1400-1700m이다.
고수 산지:만롱 신채(曼弄新寨), 만롱 노채(曼弄老寨), 방분 노채(邦盆老寨), 만매(曼迈), 만방(曼蚌), 만
닙(曼囡) 등
차산 역사 :하개(贺开) 라고족(拉祜)은 예전 강인(古羌人)의 후예(余脉)로,아주 오래전 하개(贺开)에서
차를 재배하였다. 현지인들은 제갈량(诸葛亮)을 차조(茶祖)로 모시고 매년 제사를 지낸다. 현지에서는 고차수 (古茶树)의 전설도 전해지고 있다. 근대에 와서 하개(贺开) 또한 판납(版纳) 지구 내 유명 차산 중의 하나로 되었다.
고수(古树) 현황:하개(贺开)에는 현재 9000묘(亩) 이상의 고다원(古茶园)이 하개(贺开)와 만방(曼蚌)의
두 곳 촌위원회(村委会)에 속한 7개소의 마을(寨)에 분포되어 있다. 하개(贺开) 고다원(古茶园)은 서쌍판납(西双版纳)의 모든 고다원(古茶园) 중에서도 연편(连片) 면적이 가장 커 감상할만한 가치도 있다. 만롱(曼弄) 신채와 노채 중간에는 수령이 근 1000년 되는 대차수(大茶树) 10여 그루가 있다. 고다원(古茶园)의 자연환경은 비교적 잘 보호되어 있다.
차의 품질:탕질포만(汤质饱满),약간의 고삽미(略有苦涩),비교적 빨리 고삽미가 감미로 바뀜(苦涩化
甘较快), 산운 명현(山韵明显).


(6) 茶山名:포랑산 (布朗山)
지명의 의미 :포랑족이 모여 사는 곳(布朗族聚居地)
차산 지리:맹해현(勐海县) 포랑산 포랑족향(布朗山布朗族乡)에 위치하며, 남쪽으로 미얀마와 접경을 이루고 있다. 연강우량은 1300-1500 mm, 연편균기온은 18.7도이다. 노반장(老班章)과 신반장(新班章) 은 해발
이 1600-1700 m 이고 노만아채(老曼娥寨)는 상대적으로 낮아 약 1200 m 이다.
고수 산지:노반장(老班章), 신반장(新班章), 노만아(老曼娥), 만신룡(曼新竜), 만나(曼糯) 등
차산 역사 :포랑산(布朗山)의 포랑족(布朗族)은 고복인(古濮人)의 후예이며, 복인(濮人)이 운남에서 차를 재배한 역사는 극히 오래되어 상주(商周)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현재 노만아채(老曼娥寨)에는 비교적 대규모의 고다원(古茶园)이 보존되어 있기도 하다. 노반장(老班章)의 고수(古树)는 금세기 들어 일찍부터
사람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하여 외형에서 자미(滋味)에 이르기까지 모두 뚜렷한 특징을 나타내어 다우(茶友)들 사이에서 보이차의 왕(普洱茶之王)이라는 칭송을 받고 있으며 이제는 보이차(普洱茶) 시장 가격에 있어 중요한 참고 지표가 되어 있다.
고수(古树) 현황:현재 노반장(老班章)과 신반장채(新班章寨)에는 모두 2000여묘(多亩)의 고다원(古茶
园 )이 있는데, 노반장(老班章) 쪽의 수령이 더 오래 되었고 자연환경도 잘 보호되어 있는데, 신반장(新班章)에도 상당수의 고수(古树)가 보존되어 있다. 노만아채(老曼娥寨)의 고다원(古茶园)은 면적이 더 커 3천묘 이상 된다. 총체적으로, 현지인들이 노반장(老班章)의 명성을 지키기 위하여 다원(茶园) 생태 보호를 잘 하고 있기는 하나 대다수의 다른 명산과 같이 과도채적(过度采摘)의 문제가 있어 차의 품질이 떨어지고 있다.
차의 품질:노반장(老班章) 차는 외형이 알차고(外形肥壮), 자미가 강렬하며(滋味浓烈), 고삽미가 뚜렷하고(苦涩明显), 생진과 회감이 빠르고도 오래 지속되며(生津回甘快而持久), 차기가 뚜렷하다(茶气明显). 노만아(老曼娥) 차는 노반장(老班章) 차와 비슷하나, 고삽미가 더 강하고(苦涩度更重),화개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
(化开时间更慢).


(7) 茶山名:맹송 (勐宋)(景洪)
지명의 의미 :“산 정상의 평지(山顶上的坝子)”
차산 지리:경홍시(景洪市) 대맹룡진(大勐龙镇) 맹송촌(勐宋村)에 위치하며, 경홍시(景洪市)의 최남단일 뿐 아니라 운남 전체에서 위도가 가장 낮은 고차구(古茶区)로서, 해발은 1500-1800 m이다. 강우량이 적당하다.
고수산지:맹송 대채(勐宋大寨), 묘서산(苗锄山), 만천 노채(曼迁老寨), 만가파감(曼家坡坎), 만와과(曼
窝科), 만가간변(曼加干边), 만가각(曼加角), 만매요(曼卖窑) 등
차산 역사 :맹송촌(勐宋村) 촌민소조(村民小组)는 대부분이 하니(哈尼)족의 방계인 아이니족(爱尼人)이
고, 만산촌(曼伞村) 노채(老寨)는 포랑족(布朗族)인데 이들 모두 차를 재배한 역사가 오래되었다. 만천(曼迁) 노채(老寨) 부근의 고다원(古茶园) 중에는 수령이 아주 오래된 고차수(古茶树)가 있다. 이미 청조(清朝) 시기에 이곳의 차는 토사(土司)에게 상공(上供)되었다.
고수(古树) 현황 : 중국 최남부에 위치한 고차산(古茶山)으로서, 그 지리적 위치의 편벽성으로 인하여 맹송
(勐宋) 차구(茶区)는 자연환경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현재도 5천묘 정도의 고다원(古茶园)이 남아 있고 성장 상태(长势)도 양호하다. 맹송차(勐宋茶)는 첨차(甜茶)와 고차(苦茶)로 구분되는데, 첨차(甜茶)는 고삽미가 담담하나 고차(苦茶)는 그 맛이 아주 쓰고 오랫 동안 소화되지 않아 원래는 촌민(村民)용으로 판매되었으나 현재는 판납(版纳) 고수(古树) 중의 명품이 되었다.
차의 품질:산운명현(山韵明显),향기포만(香气饱满),탕질후중(汤质厚重),배저향강(杯底香强),첨
차의 고삽미는 비교적 빨리 사라지고(甜茶苦涩较短),회감이 빨리 옴(回甘较快);고차의 고삽미는 뚜렷하고 (苦茶苦涩明显) 회감은 다소 약함(回甘较弱)。


(8) 茶山名:파달 (巴达)
지명의 의미 :“선인의 발자취(仙人脚印)”
차산 지리:맹해현(勐海县) 서부에 위치하며, 원래는 파달향(巴达乡) 소속이었으나, 지금은 서정향(西定乡)에 속하며,서쪽으로 남람하(南览河)를 사이에 두고 미얀마와 마주보고 있다. 해발은 1580-2000 m 이다.
고수산지:만매(曼迈), 장랑(章朗), 만파륵(曼帕勒) 등
차산 역사 :파달차(巴达茶)는1962년에 발견된 파달(巴达) 야생대차수(野生大茶树)에 의해 유명해졌는데,
이 대차수는 운남(云南)이 전 세계의 차발원지(茶发源地)로 인정받게 되는데 크게 기여하였으며, 또한 맹해차창 (勐海茶厂)은 파달(巴达) 지구에 방대한 규모의 대지차(台地茶) 기지를 보유하고 있다. 사실 야생차(野生茶)와 대지차(台地茶)를 제외하더라도 파달(巴达)에는 아주 훌륭한 재배형 고차수((栽培古树) 자원이 있는데 이는 이곳의 포랑족(布朗族) 선주민들이 재배했던 것으로 장랑고채(章朗古寨)는 1400년 이상의 차 재배 역사를 갖고 있다.
고수(古树) 현황 :파달(巴达) 장랑(章朗), 만매(曼迈) 등지의 고수다원(古树茶园)은 자연 환경이 잘 보존
되어 다원(茶园)과 삼림(森林)이 공생(共生)하고 있으며, 고차수(古茶树)는 자연적으로 자라고 있는데(自然生
长), 대다수는 왜화(矮化)되지 않았으며 소엽종(小叶种) 차나무가 약간 섞여 있다. 고다원(古茶园)은 모두 합쳐 2천묘 이상이다.
차의 품질:산운 포만(山韵饱满), 향기 순정(香气纯正), 고삽 명현(苦涩明显), 탕중 유첨(汤中有甜), 회감
이 빠르고도 뚜렷함(回甘快而明显).


판납차구 총괄


판납차구(版纳茶区)의 14대 차산에 대한 기본적인 상황을 개괄적으로 알아보았다. 판납차구(版纳茶区)의차(茶)는 차질이 두텁고(茶质厚重), 탕질이 비교적 포만하며(汤质较饱满), 일부 소엽종(小叶种)을 제외하면 고삽미가 뚜렷하다(苦涩明显);고수차의 차기는 뚜렷하고(古树茶气明显), 산운이 두드러진다(山韵突出). 이는 난창강(澜沧江) 하류의 기후 및 자연환경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판납차구(版纳茶区)는 보이차구(普洱茶区) 중 온도가 비교적 낮고 일조량이 많아 폴리페놀(茶多酚)과 카테킨(儿茶素)의 함량이 비교적 많은데, 비교적 뚜렷한 고삽감(苦涩感)과 반장(班章), 만아(曼娥)의 패기(霸气), 소맹송(小勐宋) 고차(苦茶)의 고삽미(苦涩)는 모두 이와 직접적인 관계를 가진다.
판납차구(版纳茶区)의 고수(古树)는 수령(树龄) 100-500년 사이의 차나무가 많은데 보이차(普洱茶)의 경우 이 정도의 수령이라면 생산량이 가장 적절한 때이나,일부 차산의 경우 일찍부터 유명해져서 과도한 채적(采摘)으로 인해 차의 품질이 떨어져 있다. 동시에 역사적으로도 잘 알려져 있어서,판납차구(版纳茶区)에는 인위적으로 훼손된 고다원(古茶园)이 비교적 많은데, 여기에는 고수(古树)에 대한 직접 파괴와 자연환경의 파괴에 의한 간접적 영향이 모두 포함된다. 그러나 비교적 궁벽한 일부 지역에는 아직도 비교적 생태환경이 좋은 다원이나 일부 보존되어 있는데, 이는 매우 귀한 자원이다. 이전에 일부 차산에서 이윤 추구와 무지에 의해 제초제와 엽면비(叶面肥)를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고수(古树) 보이차(普洱)의 명성에 엄중한 영향을 끼쳤으나 최근에는 고수(古树) 원생태(原生态)에 대한 하류시장(downstream)의 요구 조건이 갈수록 높아짐에 따라 이러한 상황은 점차 호전되고 있다.


2. 보이시 개설 普洱市综述


보이시(普洱市)는 보이차(普洱茶)로 인해 그 이름을 바꾼 시(원명은 사모(思茅))이다. 사실상 운남(云南)에서 가장 큰 시(市)인 보이시(普洱)는, 역사적으로는 물론이고 현재 보유하고 있는 보이(普洱) 고수(古树) 자원만 보더라도 보이차(普洱茶)와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를 갖고 있다. 보이시(普洱市) 경내의 고수차(古树茶) 면적은 83187 ha, 대략 124만묘(万亩)에 이른다. 그 중 야생차수군락지(野生茶树居群)가 78633 ha로 보이차(普洱茶) 산지 중 가장 넓고 고차산(古茶山)은 12123 ha 이다(2006년 보이통계(普查数据)).
차나무의 먼 조상(茶树远祖)으로 알려진, 경곡(景谷)의 3540만년 전 관엽목란(宽叶木兰) 화석으로부터 진원현(镇沅) 애뢰산(哀牢山) 천가채(千家寨)의 2700년 된 야생차수왕(野生茶树王)과 방위(邦葳)의 과도형 차수왕(过渡型茶树王), 또한 수고(树高)가 가장 높은 (27 m) 맹련향(孟连) 맹마진(勐马镇) 납복야차(腊福野茶)등 보이시(普洱市)는 다양하고 진귀한 보이(普洱) 고수(古树) 자원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 16534 ha 로 야생차수군락지(野生茶树居群) 중 최대 면적을 자랑하는 무량산(无量山) 야생차수군락지(경동현(景东县) 금병진(锦屏镇)에서 진원현(镇远县) 맹대진(勐大镇)에 걸쳐 분포)에서, 재배형 고차수 다원 중 그 면적이 가장 넓은(1112 ha) 경곡(景谷) 문산 고차산(文山古茶山) 및 경매산(景迈山)의 천년 만묘 고다원(千年万亩古茶园)에 이르기까지 보이시(普洱市)는 대단히 풍부한 야생차군락(野生茶居群) 및 고다원(古茶园) 자원도 보유하고 있다.
운남의 시 중 가장 넓은 보이시(普洱市)는 면적이 45385 제곱km로 9현(县) 1구(区)를 관할한다. 여기서는 지리적인 위치와 행정구역을 고려하여 3개지구로 나누어 서술하기로 한다. 이 3개 차구는 동남쪽의 묵강(墨江), 영이(宁洱), 사모구(思茅区), 강성편구(江城片区)와 중북부에 있는 경동(景东), 진원(镇沅), 경곡편구(景谷片区), 그리고 서남부의 난창(澜沧), 맹련(孟连), 서맹편구(西盟片区)이다. 보이시(普洱市)는 고차산(古茶山) 자원이 극히 풍부하여 본고에서는 큰 것이 작은 것을 포함하는 이대함소(以大函小)적 방식을 따르기로 한다. 혹시 들어봤던 차산의 이름이 큰 분류 중에 없다면 큰 차산의 산지 목록 중에 있을 것이다. 그 외 여기서 언급하는 고차수는 수령 100년 이상을 대상으로 하는데 차 산지 중 본고에 수록되지 않은 곳은 수령 때문일 수도 있다.


2-1 묵강(墨江), 영이(宁洱), 사모(思茅), 강성(江城) 고차수 분포


须立贡茶古茶山、龙坝古茶山、通关古茶山、坝溜古茶山、迷帝贡茶古茶山、景星豪门古茶山、困
鹿山古茶山、国庆古茶山


(1) 수립공차 고차산(须立贡茶古茶山)
차산 지리:묵강현(墨江县) 연주진(联珠镇)에 위치하며,해발 1400-1460미터,평균기온 16.9-18℃, 강수량 1323-1435 mm이다. 토양은 적홍양(赤红壤 : latosolic red soil)과 홍양(红 : red soil)이다.
차산 역사:수립공차(须立贡茶)는 청대(清代)에 황실에 진상한 황가공차(皇家贡茶)였으며 연주진(联珠镇)은 차마고도(茶马古道) 상의 유명한 역참(驿站)이었다.
주요 산지 : 채원(菜园), 반중(班中), 벽승(碧胜), 용계(勇溪)
고수(古树) 현황:고차산(古茶山) 면적은 643 ha로 괴상(块状) 분포를 보인다. 대표적인 품종은 채원촌(菜园村)의 대엽 녹차(大叶绿茶), 벽승촌(碧胜村)의 수립공차(须立贡茶) 등이다. 채원촌(菜园村) 다원(茶园)이  수립공차(须立贡茶) 소재지인 벽승촌(碧胜村)보다 관리가 잘 되어 더 잘 자라고 있다. 벽승촌(碧胜村)의 수립공차 다원(须立贡茶园) 내에는 비교적 수령이 오래된 고수(古树)들이 어느 정도 보존되어 있는데 이 곳이 청대(清代) 공차(贡茶)의 원산지이다.


(2) 용패 고차산(龙坝古茶山)
차산 지리:묵강현(墨江县) 통관(通关) 용패향(龙坝乡)에 위치하며 해발 고도 1300-1700 m, 연평균기온은 15.0-17.9℃이고 연강수량 1350 mm이다. 토양은 홍양(红壤)과 황홍양(黄红壤)이다.
주요산지:용빈(竜宾), 맹리(勐里), 대먀다(大乜多), 용장(竜场), 타동(打洞), 석두(石头), 만파(曼婆)
고수(古树) 현황:현 고차산(古茶山) 면적은 287 ha로서 다원(茶园)의 관리 상태는 일반적인 수준이고 성장 상태는 중간 등급이다.


(3) 통관 고차산(通关古茶山)
차산 지리:묵강현(墨江县) 영평진(永平镇)에 위치하며 해발고도 1520-1820 m, 평균기온은 14.9- 16.8℃,연강수량은 1391 mm이다. 토양은 홍양(红壤)과 황종양(黄棕壤)이다. (棕壤 : 갈색토)
주요산지 : 영평(永平), 신무(新武), 경패(景坝), 비고(毕库)
고수(古树) 현황:고차산(古茶山) 면적은 287 ha로 괴상분포(块状分布)를 보인다. 대표적인 품종은 영평촌(永平村)의 대엽녹차(大叶绿茶)와 신무촌(新武村)의 대엽녹차(大叶绿茶)이며 다원(茶园)의 관리는 일반적인 수준이고 성장 상태는 중간 등급이다.


(4) 패류 고차산(坝溜古茶山)
차산 지리:주로 묵강현(墨江县) 패류향(坝溜乡)에 분포되어 있다. 해발은 1630-1885 m, 평균기온 11.9-16.4 ℃, 연강수량 2197 mm이다. 토양은 홍양(红壤)이다.
주요산지 : 노주(老朱), 연주(联珠), 노팽(老彭), 매니(骂尼)
고수(古树) 현황:고차산(古茶山) 면적은 247 ha로 산재(散在)해 있는 영성분포(零星分布)와 밀집되어 있는 괴상분포(块状分布)를 보인다. 대표적인 품종은 노주채(老朱寨)의 마옥차(玛玉茶)와 연주촌(联珠村) 양팔채(羊八寨)의 마옥차(玛玉茶)이다. 차수(茶树)의 분포밀도는 다소 낮고 관리상태는 중간 수준이며 강한 성장 상태를 보이고 있다.


(5) 미제공차 고차산(迷帝贡茶古茶山)
차산 지리:주로 묵강현(墨江县) 신무향(新抚乡)에 분포되어 있다. 해발은 1300-1940 m, 평균기온 14.2-18.3 ℃, 연강수량 1293 mm이고 토양은 홍양(红壤)과 황종양(黄棕壤)이다.
주요산지 : 계비(界碑), 신당(新塘), 반포(班包), 나헌(那宪)
차산 역사:명(明) 신종(神宗) 대에 이미 차를 재배하기 시작하여 청대(清代)에 보다 발전함으로써 차마고도(茶马古道) 역참(驿站) 중의 한 곳으로 되었다. 원래는 미지차(米地茶)로 불렀으나,청대(清代)에 이 곳에서 공납한 차(贡茶)를 황제가 즐겨하여 이로부터 “미제(迷帝)”차(茶)로 부르게 되었다. 계비(界碑)의 조씨 일가(赵氏家族)는 황실(皇家)로부터 하사받은 “세봉경사(岁俸京师)” 편액(牌匾)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이는 문혁(文革) 시기에 유실되었다.
고수(古树) 현황:고차산(古茶山) 면적은 195ha이고 대표 품종은 계비촌(界碑村)의 미제공차(迷帝贡茶)인데 가장 큰 고다원(老茶园)에 300여묘의 차나무 밭이 있다.
차의 품질 : 미제차(迷帝茶)는 쓰고 떫은 맛이 뚜렷하고(苦涩明显),회감이 다소 빠르며(回甘较快), 향기는 맑은데(茶香清扬), 약간의 난향을 띄며(有少许兰香), 산운이 뚜렷하다(山韵明显).


(6) 경성호문 고차산(景星豪门古茶山)
차산 지리:주요 분포 지역은 묵강현(墨江县) 서부 경성향(景星乡)의 북회귀선 부근으로 해발 1530-1990 m, 평균기온 14.2-16.9℃, 연강수량 1360 mm이고 토양은 홍양(红壤), 황종양(黄棕壤) 및 자색토(紫色土)이다.
주요산지 :신화(新华), 경성(景星), 정룡(正龙)
차산 역사:경성(景星)은 종차(种茶) 역사가 수백년에 이르며 신중국 성립 전에는(解放前) 묵강차창(墨江茶厂)의 전신인 경성차창(景星茶厂)이 있었다.
고수(古树) 현황:고차산(古茶山) 면적 283 ha로 산재(散在)해 있는 영성분포(零星分布)와 밀집되어 있는 괴상분포(块状分布)를 보인다. 대표품종은 신화촌(新华村)의 대단엽 녹아차(大团叶绿芽茶)와 경성촌(景星村)의 중엽차(中叶茶)이다. 경성(景星)의 다원(茶园)은 오랜 동안의 개발 종식(开发种植) 과정을 거치면서 다원(茶园) 중에 고수(古树)와 소수(小树)가 혼재되어 있는데, 노수(老树)의 대부분은 왜화(矮化)되어 있으며 아두(芽头)가 뚜렷하고 많다(明显增多).
차의 품질 :쓰고 떫은 맛이 뚜렷하고(苦涩明显),단 맛이 좀 있으며(略有甜味), 향기는 다소 약하고(香气较弱), 생진 회감이 뚜렷하며(生津回甘明显), 산야운은 뚜렷하지 않다(山野韵不显).


(7) 곤록산 고차산(困鹿山古茶山)
차산 지리:영이현(宁洱县) 영이진(宁洱镇)에 위치하며, 해발 1090-1640 m, 평균기온 16.5-19.0℃, 연 강수량 1700 mm이다. 토양은 적홍양(赤红壤), 홍양(红壤)이다.
주요산지 :관굉(宽宏), 서살(西萨), 겸강(谦岗)
차산 역사:곤록산(困鹿山)은 원래 곤로산(困卢山)이라 하였으며 청대(清代) 공차(贡茶) 산지 중의 한 곳으로서 관굉촌(宽宏村) 하니족(哈尼人)의 종차(种茶) 역사는 이미 400년 이상 되었다.
고수(古树) 현황:다원(茶园)은 촌채(村寨) 변(边)에 많으며, 양곡과 차를 간작(间作)한다. 대표품종은 관굉촌(宽宏村)의 곤록산(困鹿山) 대엽차(大叶茶), 서살촌(西萨村) 대엽차(大叶茶) 및 백모차(白毛茶)의 일종으로 당지에서 속칭 세엽차(细叶茶)로 부르는 차 등이 있다. 관굉촌(宽宏村)의 고다원(古茶园)에는 수령이 400년 이상인 372 그루의 고차수(古茶树)가 있는데 대엽종(大叶种)과 소엽종(小叶种)이 공생하고 있으며, 이 곳과 같이 왜화(矮化)되지 않은 대단위의 고다원(古茶园)은 상당히 드문 경우로서, 이는 이 곳이 명청(明清) 시기에 보이차(普洱)를 생산했음을 여실히 증명하고 있다.
차의 품질 :야생의 기운이 뚜렷하고(山野气韵明显),탕질은 포만성이 있고(汤质饱满) 첨활(甜滑)한데, 고삽미는 좀 약하고(苦涩较弱), 회감은 다소 빠르다(回感较快).


(8) 국경 고차산(国庆古茶山)
차산 지리:주요 분포 지역은 강성현(江城县) 국경향(国庆乡)으로, 해발 1100-1350 m, 평균기온 19.2℃, 연강수량 2360 mm이다. 기후는 아열대성으로 비가 많다(气候湿热多雨). 토양은 적홍양(赤红壤)이다.
주요산지 :낙첩(络捷/洛捷), 마등(么等), 전방(田房), 알륵(嘎勒), 박별(博别), 화평(和平)
차산 역사:강성(江城)은 역사적으로 이무차(易武茶)의 북상 경로에서 필수적으로 거쳐야 할 곳으로서, 육대차산 차교역의 영향을 받아 강성(江城)은 일찍부터 차를 재배하기 시작하여, 낙첩(络捷), 전방(田房) 등지의 종차(种茶) 역사는 모두 200년 이상 되었다. 낙첩(络捷)이란 이족어(彝族语)로 “찻잎(茶叶)”의 의미이다.
고수(古树) 현황:다원(茶园)은 모두 촌채(村寨) 옆에 있으며, 현재 고차산(古茶山) 면적은 387 ha로 괴상분포(块状分布)를 하고 있다. 대표품종으로는 낙첩(络捷) 보가촌(普家村) 노수차(老树茶), 전방촌(田房村) 전방 대수차(田房大树茶)가 있다. 국경(国庆) 고다원에는 수령이 다른 차나무들이 혼재하여 분포하고 있으며, 가지치기 등 다듬어주지 않은 노수(老树)가 비교적 많다. 서로 다른 산지의 다원(茶园)들은 그 보호 상태도 다르다.
이무차(易武茶)의 가격이 올라감에 따라 이무차(易武茶)와 구감(口感)이 비슷한 국경차(国庆茶)의 가격도 상승하고 있다.
차의 품질 :고삽미는 다소 약하고(苦涩较弱), 찻물에서 단 맛을 느낄수 있으며(汤中带甜), 회감이 좋고(回甘较好), 탕질은 포만 정도가 이무 노수에 약간 떨어지며(汤质饱满程度较易武老树略逊), 순후한 맛이 살짝 부족하다(略显不够醇厚).


2-2 경동(景东), 진원(镇沅), 경곡(景谷) 고차수 분포
보이시(普洱市) 북부 지역은 전통적으로 보이차(普洱茶) 산지(产地)로서의 명성은 높지 않았으나 애뢰산(哀牢山) 천가채(千家寨)에서 차수왕(茶树王)이 발견되 이래 점차 세인의 주목을 받게 되어, 사람에 의한 야생(野生) 및 재배형(栽培型) 보이차(普洱茶) 고수군락(古树群落) 간의 이해가 점점 증대됨으로써 이 지역에 대한사람들의 관심이 지속적으로 커져오고 있다.
현재로서는 보이차(普洱茶) 연구에 있어 아직 결론에 이르지 못한 허다한 과제가 남아있기는 하나 무량산맥(无量山脉), 애뢰산 서파(哀牢山西坡) 및 난창강(澜沧江) 중류, 자간강(者干江), 위원강(威远江) 수계(水系)일대는 보이차(普洱茶) 자원이 가장 풍부하고 또한 그 잠재력도 가장 큰 지역으로 추정할 수 있는 여러 근거가 있어 필자 역시 가장 관심을 두고 있는 지역 중의 한 곳이다.
老仓福德古茶山、金鼎古茶山、漫湾古茶山、御笔古茶山、哀牢山西坡古茶山、振太古茶山、老乌
山古茶山、田坝古茶山、勐大古茶山、马邓古茶山、文山古茶山、秧塔古茶山、南板黄草坝古茶山、联合龙塘古茶山、团结古茶山。


(1) 노창복덕 고차산 (老仓福德古茶山)
차산 지리:경동현(景东县) 북부의 안정향(安定乡) 및 문룡향(文龙乡), 무량산 동파(无量山东坡)에 위치하며,해발 1600-2100m, 평균기온 11.6-14.6℃, 강수량 1280-1390mm, 토양은 주로 홍양(红壤)과 황종양(黄棕壤)이나 사이사이 풍화되지 않은 사력토가 끼어 있다.
주요산지 :안정향(安定乡) : 이창(迤仓), 중창(中仓), 외창(外仓), 하저(河底), 민복(民福)
문룡향(文龙乡) : 방위(邦崴:난창(澜沧)의 방위와 동명이지), 방매(邦迈), 의창(义昌)
차산 역사 : 노창복덕(老仓福德)의 고다원(古茶园), 고차수(古茶树) 및 차마고도(茶马古道)는 경동(景东)지역이 오래 된 보이차(普洱茶) 산지임을 증명하고 있다. 중화민국(民国) 14년에는 운남성(云南省) 성장(省长) 당계요(唐继尧)가 “노창차(老仓茶)”에 우수상(优等奖)을 수여한 바 있다.
차산 현황:현재 고차산(古茶山) 면적은 463 ha로 괴상분포(块状分布)를 보이며, 다원(茶园)은 대부분 촌채(村寨) 주변에 있다. 대표적인 차는 문룡향(文龙乡) 방매촌(邦迈村)의 산차(山茶)와 안정향(安定乡) 이창촌(迤仓村)의 맹고차(勐库茶)이다. 노창복덕 차구(老仓福德茶区)는 종식(种植) 밀도가 낮고 관리 상태가 조방하여 상대적으로 산출량이 적으나 오히려 이로 인해 노창복덕(老仓福德)차는 비교적 높은 품질을 보존하고 있다.
차의 품질:노창복덕차(老仓福德茶)는 비록 그 수령이 높지는 않으나 차기가 충만하고(茶气充盈),탕질포만(汤质饱满),회감지구(回甘持久)하며,무량산(无量山) 북부 차의 산운(山韵)이 특징이다.


(2) 금정 고차산 (金鼎古茶山)
차산 지리:무량산 서파(无量山西坡) 중 경동현(景东县) 임가향(林街乡)과 경복향(景福乡)에 걸쳐 있다. 해발고도가 1800-2000 m이고, 평균기온은 10.6-14.6℃, 강수량은 1292-1413 mm이다. 토양은 홍양(红壤)과 황종양(黄棕壤)으로 되어 있는데 모래 성분이 많다.
주요산지 :임가향(林街乡) : 암두(岩头), 용동(龙洞), 천두(箐头), 정파(丁帕), 청하(清河)
경복향(景福乡) : 금계림(金鸡林), 공평(公平), 차하(岔河), 맹령(勐令)
차산 현황:현재 320 ha의 고차산(古茶山)이 있는데 차나무들이 점점이 산재한 영성분포(零星)와 집단적으로 자란 괴상분포(块状分布)를 보이고 있다. 대표적인 차는 경복향(景福乡) 금계림촌(金鸡林村)의 금계림차(金鸡林茶)와 임가향(林街乡) 암두촌(岩头村)의 대로산차(大卢山茶)이다. 금정(金鼎)은 무량산(无量山) 고차구(古茶区) 중의 하나로, 차수(茶树) 밀도가 비교적 낮고 관리 상태가 조방(粗放)하여 보이차(普洱茶)의 품질이 우수하다. 아직도 조방(粗放) 관리되고 있는 100년 이상된 고수(古树) 밭이 1000묘(亩)에 이른다.
차의 품질:고미가 뚜렷하나 삽미는 약하고(苦显涩弱),고미에서 감미로 잘 넘어가며(苦能化甘),탕질이 포만성을 가지고(汤质饱满),산운이 뚜렷하다(山韵明显)。


(3) 만만 고차산 (漫湾古茶山)
차산 지리:경동현(景东县) 만만진(漫湾镇) 내의 무량산 서파(无量山西坡) 지역. 해발 1700-2300 m, 평균기온 13.6-14.6℃, 강수량 1291-1307 mm이다. 토양은 홍양(红壤)과 황종양(黄棕壤)으로 되어 있는데 풍화되지 않은 자갈이 끼어 있다.
주요산지 :만만(漫湾), 안소(安召), 온죽(温竹) 등
차산 현황:현재 205 ha의 고차산(古茶山)이 있는데 차나무들이 점점이 산재한 영성분포(零星)와 집단적으로 자란 괴상분포(块状分布)를 보이고 있다. 대표적인 차는 안소촌가차(安召村家茶)와 온죽촌차(温竹村茶)이다. 이 지역도 무량산(无量山) 고차구(古茶区) 중의 하나로, 차수밀도가 아주 희박하고 관리상태는 조방(粗放)하다. 만만(漫湾) 역시 우수 품질의 보이차를 생산하는 지역이다.
차의 품질:삽미보다 고미가 세고(苦显于涩),고미에서 감미로 잘 넘어가며(苦能化甘),산야운이 뚜렷하다(山野韵明显)。


(4) 어필 고차산 (御笔古茶山)
차산 지리:무량산(无量山) 동파(东坡) 지역으로 경동현(景东县) 문정진(文井镇) 및 금병진(锦屏镇)에 걸쳐있다. 해발 1700-2000 m, 평균기온 13.6℃, 강수량 1300 mm이다. 토양은 홍양(红壤)인데 비교적 모래 성분이 많다.
주요산지 : 문정진(文井镇) : 산심(山心), 병필(丙必)(长地山:장지산)、청량촌(清凉村)
금병진(锦屏镇) : 산충(山冲), 황초령(黄草岭)
차산 현황:현재 279 ha의 고차산(古茶山)이 있는데 괴상분포(块状分布)를 보이며, 다원(茶园)은 대부분 촌채(村寨) 주변에 있다. 대표적인 품종은 문정진(文井镇) 산심촌차(山心村茶)와 금병진(锦屏镇) 산충촌생태차(山冲村生态茶)이다. 다원(茶园)의 관리 상태는 일반적인 수준이고 차나무들은 비교적 강한 성장도(树势)로 잘 자라고 있다. 어필고차산(御笔古茶山)은 현재 100년 이상된 차나무 밭을 1000묘(亩) 가까이 보유하고 있다.
차의 품질:고삽미가 다소 강하고(苦涩较重),회감이 빠르고(回甘较快) 뚜렷하며(回甘明显),삽미에 의해 침이 잘 고이고(涩能生津), 산운은 일반적인 수준이다(山韵一般).


(5) 애뢰산 서파 고차산 (哀牢山西坡古茶山)
차산 지리:경동현(景东县) 용가향(龙街乡), 대가향(大街乡), 화산향(花山乡), 애뢰산(哀牢山) 서파(西坡) 중상부. 해발 1300-2100 m, 평균기온 12.6-17.6℃, 연강수량 1180-1320 mm이다. 토양은 적홍양(赤红壤), 홍양(红壤), 황종양(黄棕壤)이다.
주요산지 :용가(龙街) : 동산(东山), 화초(和哨) 대가(大街) : 대가(大街), 기력(气力), 삼영(三营)
화산(花山) : 문강(文岗), 영반(营盘), 별라(撇罗), 문차(文岔), 노산(芦山)
차산 현황:현재 457 ha의 고차산(古茶山)이 있는데 차나무들이 점점이 산재한 영성분포(零星)와 집단적으로 식재되어 있는 괴상분포(块状分布)를 보이고 있다. 다원(茶园)의 대부분은 촌채(村寨) 주변에 있는데 부분적으로 식량 생산용 밭(粮田)과 간작(间作)을 하고 있다. 대표품종은 화산향(花山乡) 노산촌(芦山村)의 대석방야차(大石房野茶)와 용가향(龙街乡) 이의수촌(栘衣树村)의 전마림 대수차(荃麻林大树茶)이다. 차나무를 소식(疎植)재배하여(茶树零星种植) 관리상태가 어느 정도 양호하고 성장상태(长势)도 좋다. 이 차구는 애뢰산(哀牢山) 고차구(古茶区)이자 동시에 역사적으로 보이차(普洱茶)가 대리(大理)로 북상하는 주요 통로로서 부분적으로 차마고도(茶马古道)의 유적이 보존되어 있다.
차의 품질:쓴 맛이 떫은 맛보다 뚜렷하고(苦显于涩), 맛이 써서 입이 마르는 느낌을 받으며(苦能化干), 탕질은 꽉 찬 느낌을 준다(汤质饱满).


(6) 진태 고차산 (振太古茶山)
차산 지리:진원현(镇沅县) 진태향(振太乡) 내 무량산 서파(无量山西坡)에 있으며, 해발 1377-1857m, 평균기온 16.0-18.4℃, 연강수량 865-1270 mm이다. 토양은 적홍양(赤红壤), 홍양(红壤), 자색토(紫色土)로 이루어져 있다.
주요산지 :산가(山街), 태두(抬头), 계비(界碑), 흥륭(兴隆), 당방(塘房), 사하(沙河), 문파(文怕), 장안(长安), 소채(小寨), 황리(黄梨)
차산 현황:현재 883 ha의 고차산(古茶山)이 있는데 영성분포(零星)와 괴상분포(块状分布)를 보인다. 이 고차구(古茶区)의 종차(种茶) 역사는 250년을 넘으며, 그 대부분은 촌채(村寨) 주변에 있는데 대표적인 수종은 산가촌(山街村)의 대차수(大茶树)와 소채촌(小寨村)의 대엽차(大叶茶)이다. 다원(茶园)의 관리상태는 중간 정도이고 성장 상태는 제각각이다.


(7) 노오산 고차산 (老乌山古茶山)
차산 지리:진원현(镇沅县) 안판진(按板镇)에 위치하며, 해발 2057-2240m, 평균기온 14.1-15.2℃, 연강수량 1390-1502mm이다. 토양은 홍양(红壤)과 황종양(黄棕壤)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요산지 :문립(文立), 나가(罗家), 나포(那布) 등
차산 현황:현재 417 ha의 고차산(古茶山)이 있는데 괴상분포(块状分布)를 보인다. 다원(茶园)은 대부분 촌채(村寨) 주변에 있으며 대표품종은 문립촌(文立村)의 문립대차수(文立大茶树)이다. 노오산(老乌山)은 해발고도가 높은 무량산계(无量山系)의 대표적인 산으로 현지 이족(彝族)의 종차(种茶) 역사는 500년이 넘는다. 다엽(茶叶)의 품질이 우수하다.
차의 품질:노오산(老乌山) 차(茶) 탕질 포만(汤质饱满), 차기 혼후(茶气浑厚), 산운 유장(山韵悠长), 향기 저침(香气低沉),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산출된 고품질의 고보이차(古普洱茶) 품종으로, 명수당(茗寿堂: 원 필자)이 생산하는 재배형(栽培) 및 과도형(过渡型) 고령(高龄) 고수차(古树)의 중요 산지이다.


(8) 전패 고차산 (田坝古茶山)
차산 지리:진원현(镇沅县) 전패향(田坝乡) 및 안판진(按板镇)에 걸쳐 있다. 해발 1770-1816 m, 평균기온 16.5℃, 연강수량 1180-1215 mm이다. 토양은 홍양(红壤)과 자색토(紫色土)이다.
주요산지 :전패(田坝) : 노해당(老海塘), 차산천(茶山箐), 민강(民强), 와교(瓦桥) 안판(按板) : 연맹(联盟)
차산 현황:현재 200 ha의 고차산(古茶山)이 있는데 괴상분포(块状分布)를 보인다. 다원(茶园)은 대부분 촌채(村寨) 주변에 있으며 대표품종은 민강촌(民强村)의 대엽차(大叶茶)이다. 백년 이상된 고수(古树)밭이 아직도 수백묘에 이르며 다원(茶园)의 관리상태는 중간정도이고 비교적 강한 성장상태를 보이고 있다.
차의 품질:산운이 뚜렷하고(山韵明显), 탕질이 꽉 찬 느낌을 주며(汤质饱满), 찻잔 바닥에서 향이 나고(杯底香显), 고미가 뚜렷하고 삽미가 약하다(苦显涩弱).


(9) 맹대 고차산 (勐大古茶山)
차산 지리:진원현(镇沅县) 맹대진(勐大镇)에 있으며,해발 1428-1910 m, 평균기온 15.8-18.1℃, 연강수량 920-1910 mm이다. 토양은 적홍양(赤红壤)과 홍양(红壤)이다.
주요산지 :대정(大井), 문황(文况)(감분천(砍盆箐)), 문몽(文蒙), 문개(文开), 문복(文卜)차산 현황:현재 252 ha의 고차산(古茶山)이 있는데 괴상분포(块状分布)를 보이며, 다원(茶园)은 대부분
촌채(村寨) 주변에 있다. 다원(茶园)의 관리상태는 비교적 떨어지며 다엽(茶叶)의 품질은 우수하다. 대표품종은 문황촌(文况村)의 감분천차(砍盆箐茶)이다. 감분천차(砍盆箐茶)를 아는 외지인은 많지 않으나 현지에서는 명성이 높아 그 가격이 계속 상승 중이다.


(10) 마등 고차산 (马邓古茶山)
차산 지리:진원현(镇沅县) 자동향(者东乡)에 있으며, 해발 1760-1810m, 평균기온 16.2℃, 연강수량 1118-1205 mm이다. 토양은 적홍양(赤红壤)과 홍양(红壤)으로 되어 있다.
주요산지 :맥지(麦地), 마등(马邓) * 마등(马邓)은 현재 고총(苦聪)으로 이름이 바뀌어 고총(苦聪) 또는 고총산채(苦聪山寨 )로 알려져 있다.
차산 현황:마등고차산(马邓古茶山)은 청(清) 가경(嘉庆) 연간에 차를 재배하기 시작하였는데 현재 고차산(古茶山)의 면적은 약 117ha이고 괴상분포(块状分布)를 보인다. 대표품종은 맥지촌(麦地村)의 대녹차(大绿茶)와 마등촌(马邓村)의 노마등차(老马邓茶)인데, 다원(茶园)의 관리 상태는 일반적인 수준이고 성장상태는 좋다. 마등차(马邓茶)는 진원(镇沅) 지역의 전통명차(传统名茶)로 녹차의 차품질이 순후하고(茶质醇厚), 뚜렷한 향기를 가져(香气明显) 명성을 얻었다.
차의 품질:배저유향(杯底留香), 고삽교약(苦涩较弱), 회감교쾌(回甘较快), 탕중대첨(汤中带甜). 대맥지차(大麦地茶)와 마등차(马邓茶)는 고삽미가 다소 덜한 점에서 서로 유사하다.
* 진원(镇沅) 애뢰산 천가채(哀牢山千家寨) : 구갑향, 자동향, 화평향 포괄
* 보이차와 관련된 지명으로서의 천가채 는 진원 애뢰산 천가채와 경곡 금죽산(고죽산) 천가채에 두루 사용됨.


(11) 문산 고차산 (文山古茶山)
차산 지리:경곡현(景谷县) 경곡향(景谷乡)에 분포하며, 해발 1610-2010m, 평균기온 20.3℃, 연강수량 1296 mm 이고 토양은 홍양(红壤)과 황종양(黄棕壤)이다.
주요산지 :문산(文山 : 文山顶(문산정), 大石寺(대석사)), 고죽산(苦竹山), 경곡(景谷 : 小景谷), 문소(文召), 운반(云盘), 문련(文联), 단산(团山), 문동(文东)
차산 역사:소경곡(小景谷)의 종차(种茶) 역사는 아주 오래되었는데, 역사적으로 가장 유명한 사람은 청말(清末)의 명인(名人) 기상정(纪襄廷)으로 그는 경곡(景谷)에서 차의 재배를 보급하였는데, 광대한 지역에 차를 재배하도록 하여 빈농을 도운 점을 차치하더라도 그는 또한 소경곡(小景谷)에 항풍원차장(恒丰源茶庄)을 설립하여, 소경곡(小景谷)이 보이차(普洱茶)의 중요한 집산지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상정(纪襄廷) 시대 당시의 차나무(茶树)는 현재 이미 100년 이상 되었고 그 품종이 좋아 이로부터 생산된 차의 품질도 특출하다.
차산 현황:현재 고차산(古茶山)의 면적은 1112 ha로 괴상분포(块状分布)를 보인다. 대표품종은 문산촌 (文山村)의 맹고차(勐库茶)와 운반촌(云盘村)의 홍감람차(红橄榄茶)이다. 다원(茶园)의 관리 상태는 중간 수준이고 강한 성장상태를 보인다. 소경곡(小景谷) 차구(茶区)는 경륜이 있는 차인(普洱茶人)들이 상당히 관심을 갖는 지역으로, 고다원(古茶园)이 광범한 지역에 걸쳐 분포해 있으며 차나무의 생장상태도 종다. 현재 금죽산(金竹山)으로 이름이 바뀐 고죽산(苦竹山)과 문산정(文山顶) 등지에 다소 오래된 약간의 차나무들이 보존되어 있는데 그 품질이 좋다. 특히 고죽산(苦竹山) 천가채(千家寨)차는 경곡에서 가장 좋은 차라는 이야기도 있다.
차의 품질:산운이 비교적 좋고(山韵较好), 탕질이 포만하며(汤质饱满), 향기가 유장하고(香气幽长), 회감이 비교적 좋으며(回甘较好), 찻물 속에 첨미를 띄며(汤中带甜), 첨미 중에 시원한 맛이 있다(甜中有凉).


(12) 앙탑 고차산 (秧塔古茶山)
차산 지리:경곡현(景谷县) 민락진(民乐镇)에 있으며, 해발 1110-1780m, 평균기온 18.7℃, 연강수량 1530mm이고 토양은 적홍양(赤红壤)과 홍양(红壤)이다.
주요산지 :대촌(大村), 백상(白象), 도자(桃子), 민락(民乐)
차산 역사:앙탑 백차(秧塔白茶)는 사적(史籍)에 명확히 기록된 소수의 보이공차(普洱贡茶) 중의 하나로, 청대(清代)에 이름을 떨칠 당시 공물 담당 궁정인들은 이 차를 '흰 용의 수염' 즉 백룡수(白龙须)라 불렀다.
차산 현황:고차산(古茶山) 면적은 114ha로 괴상분포(块状分布)를 보이며, 대표품종은 대촌(大村)의 앙탑대백차(秧塔大白茶)와 백상촌(白象村)의 대엽자차(大叶子茶)이다. 다원(茶园)의 관리 상태는 중간 수준이다. 앙탑백차(秧塔白茶)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도 진귀한 백차(白茶) 수종(树种)으로, 명수당(茗寿堂)에서는 그 중에서도 가장 오래되어 500년 이상 된 고수(古树)에서 원료를 골라 사용하는데 가히 모수급(母树级) 차품(茶品)이라 할 만 하다. 그 외 이,삼백년 된 보이차수(普洱茶树)와 일,이백년 된 백차(白茶)도 광범하게 분포되어있다.
차의 품질:향기가 진하고(香气浓郁), 향이 감미로우며(甘香明显), 회감세니(回甘细腻)의 특성이 있다.


(13) 남판 황초패 고차산 (南板黄草坝古茶山)
차산 지리:경곡현(景谷县) 동부 봉산향(凤山乡)과 정흥진(正兴镇)에 위치하며, 해발 1710-2350 m, 평균기온 18.7℃, 연강수량 1530mm이고 토양은 홍양(红壤)과 황종양(黄棕壤)으로 되어 있다.
주요산지 :황초패(黄草坝 : 大尖山(대첨산)), 평전(平田), 순남(顺南), 남판(南板)
차산 현황:현재 고차산(古茶山) 면적은 458 ha로 괴상분포(块状分布)를 보인다. 대표품종은 평전촌(平田村)의 세홍차(细红茶)이다. 황초패 차산(黄草坝茶山)에는 대소엽종(大小叶种)이 공생하고 있으며, 촌채(村寨) 주변의 대수차(大树茶)와 산비탈(山坡)의 야방차(野放茶)는 모두 그 성장상태가 좋고 품질이 우수하다.
차의 품질:황초패차(黄草坝茶)는 향기유장(香气幽长), 산운명현(山韵明显), 고삽교약(苦涩较弱), 회감교쾌(回甘较快), 탕질포만(汤质饱满)의 특성을 보인다.


(14) 연합 용당 고차산 (联合龙塘古茶山)
차산 지리:경곡현(景谷县) 위원진(威远镇)에 있으며, 해발 1510-1760m, 평균기온 20.1℃, 연강수량1341.8 mm이고 토양은 홍양(红壤)과 자색토(紫色土)로 되어 있다.
주요산지 :용당(龙塘), 연합(联合)
차산 현황:현재 고차산(古茶山) 면적은 335 ha로 괴상분포(块状分布)를 보인다. 대표품종은 용당촌(龙塘村)의 대엽차(大叶茶)와 연합촌(联合村)의 대엽차(大叶茶)이다. 성장상태가 좋고 품질이 우수하다.


(15) 단결 고차산 (团结古茶山)
차산 지리:경곡현(景谷县) 영평진(永平镇) 단결촌(团结村)에 있으며, 해발 1090m, 평균기온 20℃, 연강수량 1410mm이고 토양은 적홍양(赤红壤)이다.
주요산지 :단결(团结)
차산 현황:단결차산(团结茶山)에서는 주로 한족(汉族)이 차를 재배하며 차나무는 수령 일,이백년의 노수(老树)가 많다. 현재 고차산(古茶山) 면적은 198 ha로 괴상분포(块状分布)를 보인다. 대표품종은 단결촌(团结村)의 강자차(刚榨茶)이다. 다원(茶园)의 관리상태는 일반적인 수준이며, 성장 상태는 좋다.


2-3 서맹 맹사 용담 (西盟勐梭龙潭)


난창(澜沧), 서맹(西盟), 맹련(孟连) 고차수(古茶树) 분포
전통적으로 난창(澜沧), 서맹(西盟), 맹련(孟连)은 변3현(边三县)으로 불리어 왔으며 지리적으로 편재되어있어 이 곳에서 생산된 보이차(普洱茶)는 거의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근래에 이르러 방위(邦崴)의 과도형 차수왕(过渡型茶树王)이 발견됨에 따라 난창(澜沧)의 고수차(古树茶)는 세인의 관심을 끌게 되었다. “천년만묘다원(千年万亩茶园)”으로 알려져 있는 경매산(景迈山)의 고수차(古树茶)는 그 특유의 향이 세인들에 알려져 열광적인 성원을 받게 되었으나 다행히 경매(景迈) 지역은 땅은 넓고 생산되는 차의 양이 많아 아직 과도한 투기에 이르지는 않고 있다. 실제로 변3현(边三县)의 고수(古树) 자원은 이 곳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고차수(古茶树)에 대해 더욱 깊이 연구해 감에 따라 사람들은 대흑산계(大黑山系)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데, 넓디 넓은 이 곳 일
대와 애뢰산(哀牢山), 무량산(无量山)은 모두 차(茶) 자원이 가득찬 신비의 땅이라 할 것이다. 이 곳의 생태 환경은 운남 전역에서도 가장 잘 보존되어 있어 명수당(茗寿堂)의 야방차(野放茶) 기지도 바로 이 서맹(西盟)에 있다.
景迈古茶山、邦崴古茶山、文东古茶山、东卡河古茶山、腊福古茶山、芒中古茶山、佛殿山古茶山


(1) 경매 고차산 (景迈古茶山)
차산 지리:난창현(澜沧县) 혜민향(惠民乡)에 위치한 현존 최대의 고차산(古茶山) 중 하나이다. 해발은 1100-1570, 평균기온 16.5-19℃, 연강수량 1400-1450mm이고 토양은 적홍양(赤红壤)과 홍양(红壤)으로 되어 있다.
고수산지:경매(景迈 : 大平掌(대평장)), 망경(芒景), 망홍(芒洪), 맹본(勐本), 망경(芒埂), 옹와(翁洼), 옹기(翁基), 노주방(老酒房) 등
차산 역사:경매산(景迈山)에 있는 미얀마 사찰(缅寺) 경내의 비석에 새겨진 기록에 의하면 경매산(景迈山)에서 대규모로 차를 재배한 역사는 1300년이 넘는다. 포랑족(布朗族)의 사료(史料)에 의하면 1800년 전부터 차를 재배하였다고 한다. 포랑족의 선조인 팔암랭(叭岩冷)의 전설은 더 오래되었다. 신중국 건국 초기 포랑족(布朗族)의 족장(头人)은 경매차(景迈茶)를 모택동 주석에게 선물로 바쳤다.
차산 현황:현재 고차산(古茶山) 면적은 1095 ha로 괴상분포(块状分布)를 보인다. 대표품종은 망경촌(芒景村)의 망홍 고차(芒洪古茶)와 경매촌 고차(景迈村古茶)이다. 경매산(景迈山)은 자연환경이 잘 보호되어 있고 기본적으로 차나무들이 인위적인 왜화(矮化) 과정을 거치지 않은채 여타 수목과 혼생하고 있는데 이 또한 경매차(景迈茶)가 독특한 향기를 가지는 원인 중의 하나이다. 동시에 경매산(景迈山)에는 오래된(500년) 고수(古树)가 상당히 많이 보존되어 있어 아주 진귀한 고수차(古树茶) 자원 지역이다.
차의 품질:건차(干茶), 차탕(茶汤), 배저(杯底)의 향이 모두 좋고, 산운(山韵)이 우아(优雅)하며, 고삽미가 뚜렷하고(苦涩明显), 회감이 빠르면서도 오래 지속된다(回甘快而持久). 탕질은 포만성을 나타낸다(汤质饱满).


(2) 방위 고차산 (邦崴古茶山)
차산 지리:난창현(澜沧县) 부동향(富东乡)에 있으며, 해발은 1640-1780m, 평균기온 15.5-16.5℃, 연강수량 1100-1300mm이고 토양은 홍양(红壤)이다.
고수산지:나동(那东), 소패(小坝), 남전(南滇)
차산 역사:나동(那东) 일대에 있는 라고족(拉祜族)의 종차(种茶) 역사는 수백년에 이르며 방위촌(邦崴村)에서 발견된 과도형 차수왕(过渡型茶树王)에 의해 방위 고차수(邦崴古树)가 유명하다. 1992년과 1993년의 두차례의 국제학술대회에서 과도형 차수왕(过渡型茶树王)을 확인하였고 이는 중국이 보이차(普洱茶)의 원산지라는 사실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가 되었다.
차산 현황:고차산(古茶山) 면적은 211 ha로 차나무는 주로 촌채(村寨) 주변에 분산되어 분포하고 있다. 대표적인 차나무(植株)는 나동촌(那东村) 나동 노차수(那东老茶树)와 소패촌(小坝村)의 대평장 대차수(大平掌大茶树)이다. 방위(邦崴) 과도형 차수왕(过渡型茶树王)도 이 차산(茶山) 중에 있다.
차의 품질:고삽미가 비교적 뚜렷하고(苦涩较明显), 회감이 비교적 빠르며(回甘较快), 향기가 유장하고 (香气幽长), 산운이 뚜렷하며(山韵明显), 생진도 뚜렷하다(生津明显).


(3) 문동 고차산 (文东古茶山)
차산 지리:차산은 난창현(澜沧县) 문동향(文东乡)에 주로 분포하며, 해발은 1740-1970m, 평균기온14.5-16.0℃, 연강수량 1200mm이고 토양은 홍양(红壤)과 황종양(黄棕壤)으로 되어 있다.
고수산지:소채(小寨), 파새(帕赛), 수당(水塘), 이의수(栘(木+衣)树)。
차산 역사:소채(小寨)의 와족(佤族)이 차를 재배한 역사는 500년이 넘으며, 파새(帕赛) 한족(汉族)의 종차(种茶) 역사도 근 500년에 달한다.
차산 현황:현재 고차산(古茶山) 96 ha를 보유하고 있으며, 괴상분포(块状分布)를 보인다. 차나무들은 산재하여 자라고 있으며 차와 양곡을 간작하고 있다. 고수(古树), 소교목(小乔木), 신차(新茶)가 혼재되어 재배되고 있다. 대표 품종은 소채촌(小寨村)의 노차수(老茶树)와 파새촌(帕赛村)의 노차수(老茶树)이다. 차나무의 성장 상태가 좋고 품질이 우수하다.
차의 품질:고삽명현(苦涩明显), 난향고양(兰香高扬), 내포성이 뛰어나며(多泡之后犹在), 경매차에 뒤지지 않고(不输景迈), 회감이 비교적 빨리 오며(回甘较快), 탕질 포만(汤质饱满)하다.


(4) 동카하 고차산 (东卡河古茶山)
차산 지리:난창현(澜沧县) 동랑향(东朗乡) 대평장촌(大平掌村)에 있으며, 현소재지(县城)에서 21km 떨어진 위치이다. 해발은 1550m이고 토양은 황사양(黄沙壤)이다.
차산 현황:차나무는 마을 주변(村边)의 산등성이와 산비탈에서 다른 나무들과 공생하며 자라고 있어 생태 환경이 양호하다. 이들 고수(古树)는 모두 자연적으로 자란 것으로 인위적인 왜화(矮化) 과정을 겪지 않았다.
차의 품질:다소 고미가 뚜렷함(苦较明显), 회감이 다소 빠름(回甘较快), 차향 고양(茶香高扬), 탕질 포만(汤质饱满), 탕중 대첨(汤中带甜).


2-4 납복산 고차수 (腊福山古茶树)


(1) 납복 고차산 (腊福古茶山)
차산 지리:맹련현(孟连县) 맹마진(勐马镇) 납복촌(腊福村)에 있으며, 해발은 1570m 이다. 국경에서 수km 밖에떨어지지 않은 거리이다. 토양은 황종양이다(土壤为黄棕壤).
차산 현황:보이차산(普洱茶山)을 잘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납복(腊福) 대흑산(大黑山) 야생차(野生茶)에 대해서는 자주 들어보았을 수 있으나 납복대채(腊福大寨) 부근의 재배형 고차수(栽培型古树)에 대해서는 잘모르는 경우가 있다. 납복(腊福)의 고차수(古茶)는 비교적 분산되어 분포하는데 오래된 마을(旧寨) 주위에 많다.
수령이 좀 오래된 약간의 고차수(古茶树)가 보존되어 있는데 종합적으로 볼 때 품질이 양호하다.
차의 품질:산운은 다소 강함(山韵较强), 다소 심한 고삽미(苦涩较重), 향이 진하고 오래 감(香气明显悠长), 찻물에 단 맛을 띔(汤中带甜), 회감이 좋음(回甘较好).


(2) 망중 고차산 (芒中古茶山)
차산 지리:맹련현(孟连县) 나윤진(娜允镇) 경항촌(景吭村)에 있으며 해발은 1020 m이다.
차산 역사:나윤고진(娜允古镇)은 맹련 선무사(孟连宣抚司) 소재지로 토사부(土司府)는 지금도 잘 보존되어 있다. 망중(芒中)의 고다원(古茶园)은 바로 맹련태족토사(孟连傣族土司)의 어용다원이었다.
차산 현황:망중 고다원(芒中古茶园)의 차나무는 결코 크지 않으나생태환경이 좋고 차나무와 다른 수종(树种)이 공생하고 있으며 적정량을 채적(采摘)하고 있어 차수(茶树)의 품질이 보증된다.
차의 품질:산운이 좀 세고(山韵较强),고삽미는 다소 약하며(苦涩较弱),쓴 맛 중에 단 맛을 띄며(苦中带甜), 회감이 좋고(回甘较好), 탕질이 포만성을 가진다(汤质饱满).


(3) 불전산 고차산 (佛殿山古茶山)
차산 지리:서맹현(西盟县) 서부에 위치하며, 평균기온 13.5℃, 연강수량 약 3000 mm이고, 해발은 1700- 2200m이다.
차산 현황:서맹(西盟) 불전산(佛殿山) 일대의 야생고차(野生古茶)가 근래에 들어 관심을 받고 있는데 초보적인 현지 조사는 물론 면적이나 수령 등 모두 손에 꼽을 수 있을 정도로 정보가 적다. 야생고차수(野生古树茶)를 제외하고도 불전산(佛殿山)에서는 약간의 과도형(过渡型) 고차수군락(古茶树群落)이 발견되었는데 이 고차수군락은 아직도 충분히 보호되거나 잘 이용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차의 품질:향기 침온 유장(香气沉稳幽长), 고삽명현(苦涩明显), 회감이 빠르고 오래 유지되며(回甘较快而持久), 탕질포만(汤质饱满).


보이시 총괄(普洱市总结)


보이시(普洱市)는 그 면적이 커 세로 방향으로는 북회귀선을 가로지르는데, 그 고수차(古树茶)도 다양한 특색을 보인다. 남부 지역인 강성(江城) 등지의 차산(茶山)과 판납(版纳) 동부 차구(茶区)의 차 품질은 아주 비슷하여 부드럽고 내향적이다(柔和内敛). 서부에 있는 난창(澜沧) 등지의 차(茶)는 향기가 튀고(香气凸显), 회미가 유장하여(回味悠长) 강력한 시장 경쟁력을 갖고 있다. 북부인 경동(景东), 진원(镇沅) 등지의 茶山场纯正,차기가 충만하여(茶气充盈),차기(茶气)에 대해 점점 깊이 알게 될수록 필연적으로 더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게  될 것이다. 경곡 차구(景谷茶区)는 역사가 유구한데 이 곳의 차는 향기와 구감이 모두 좋으며(香气口感俱佳), 대규모의 고차산(古茶山)이 드물지 않아 미래의 시장 방향을 대표한다. 그 외에 서로 비슷한 서맹(西盟), 맹련(孟
连) 등지는 비록 그 점지 면적이 작고 명성은 떨어지나 그 양호한 자연환경에 의해 이후의 시장 시세에 있어 복병이 될 수 있다.


3. 임창 고차수 분포 临沧古树茶分布


임창시(临沧市)는 운남성에서 가장 많은 차를 생산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전홍(滇红)과 녹차(滇青)를 위주로 하며, 노사고진(鲁史古镇)이 차마고도(茶马古道)의 전기(传奇)를 이야기하고 있으나,봉경차창(凤庆茶厂) 즉 이전의 순녕차창(顺宁茶厂)에서 만든 전홍(滇红)도 운남차(云南茶)로서 역사적으로 유명하였다. 사실 임창(临沧)에는 보이고수(普洱古树) 자원이 아주 풍부하며,봉경(凤庆) 소만진(小湾镇) 향죽천(香竹箐)에 있는 3200년 된 고차수왕(古茶树王)은 고대의 선주민들이 차를 재배한 명확한 증거이다. 각지에 대규모의 고다원(古茶园)과 야생고차수군락(野生古树茶群落)이 산재해 있어,보이차(普洱茶) 자원의 보고(宝库)라 할 수 있다.
빙도(冰岛), 석귀(昔归)로 대표되는 고수차(古树茶)가 이미 두각을 나타내어 오히려 유구한 역사를 가진 판납(版纳)의 명산 보이차를 압도할 판이나 중요한 사실은 임창(临沧)의 고수(古树) 자원이 이들 지역에만 그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영덕(永德), 운현(云县), 쌍강(双江) 등지의 대산심처(大山深处)에는 아직도 찾아낼 고수(古树)자원이 아주 많다.
판납(版纳)과 보이시(普洱市)의 보이차(普洱茶) 자원과 비교해 볼 때 임창(临沧) 경내의 고차산(古茶山)에 대한 상세한 자료는 아직도 완비되지 못하여 여기에서는 그 개황을 소개하는 선에서 마무리한다.
임창시(临沧市)는 난창강(澜沧江)을 내려다 본다(临)는 데서 나온 이름이다. 경내 다원의 총면적은 130만 묘(万亩)로,그 중 야생고차수군락(野生古茶树群落)이 40만묘(万亩),재배형 고다원(栽培型古茶园)이 65만 묘(万亩)인데 그 중 100년 이상 된 고다원(古茶园)은 9만묘(万亩) 이상이다. 임창(临沧)은 유명한 하관차창(下关茶厂) 타차(沱茶) 원료의 가장 중요한 공급처이다. 또한 곤명차창(昆明茶厂), 맹해차창(勐海茶厂)에도 대량의 우수한 다엽(茶叶)을 공급하고 있다. 수많은 명차(名茶)의 배후에는 모두 임창(临沧)의 원료가 사용되고 있어 임창차(临沧茶)야말로 막후 영웅이라 할 것이다.


임창(临沧)
임창(临沧)은 1구(区)7현(县)을 관할하며,각 구현(区县)에는 모두 고수(古树) 자원이 풍부하다. 다엽(茶叶) 생산량에 따라 열거하자면 봉경(凤庆), 운현(云县), 영덕(永德), 쌍강(双江), 경마(耿马), 임상구(临翔区), 창원(沧源), 진강(镇康) 순이다. (2009년 산량 기준)


(1) 봉경(凤庆) — 임창(临沧) 북부에 위치
경내(境内)의 고차수(古茶树) 자원은 5.6만묘(万亩) 정도로, 봉경현(凤庆县)의 봉산(凤山), 맹우(勐佑), 대사(大寺), 삼차하(三岔河), 설산(雪山) 등지에 각기 천묘(千亩)에 이르는 재배형 고다원(栽培古茶园)이 있으며, 시례향(诗礼乡) 고흑촌(古黑村)에도 고차수(古茶树)가 있다.
소만진(小湾镇) 화봉촌(华峰村)의 수령(树龄)이 3200년에 이르는 봉경 향죽천 대차수(凤庆香竹箐大茶树)는 지금껏 알려진 차나무 중 수령이 가장 오래 되고 줄기(树干)가 가장 굵은 인공재배형 대차수(人工栽培大茶树)이다.
운남성에서 차를 가장 맣이 생산하는 현으로서 현 전체가 모두 차 재배에 적합하다. 역사가 오래된 “태화차 (太华茶)”는 유명하다. 봉경차창(凤庆茶厂)은 일찌기 중국의 홍차(红茶) 표준을 제정하였다. 중국 1급 우량종 (国家级良种)인 봉경대엽종(凤庆大叶种)을 생산하고 있다.
차마고도(茶马古道)의 중요한 읍(镇)이었던 노사(鲁史)는 수백년의 역사를 가지며, 더욱이 청룡교(青龙桥)는 차마고도(茶马古道) 상의 주요 요충지였다.


(2) 운현(云县) — 임창(临沧) 동북부에 위치
야생대차수(野生大茶树)가 각 향진(乡镇)에 모두 분포하고 있으며 그 중 유명한 곳으로는 행복진 대종산 (幸福镇大宗山)의 멸파산촌(蔑笆山村) 1.5만묘(万亩) 용보진 당리수촌(涌宝镇堂梨树村) 1600묘(亩), 만만진(漫湾镇) 대병산(大丙山) 1000여묘(余亩), 애화진(爱华镇) 황죽림천(黄竹林箐) 등이다.
대병산(大丙山) 중부 만만진(漫湾镇) 백앵산(白莺山)에 있는 “고다원 자연박물관(古茶园自然博物
馆)”에는 고차수(古茶树) 1.24만묘(万亩)가 있다. 이 곳에서는 다양한 품종의 차나무와 야생차수(野生茶树)에서 재배차수(栽培茶树)에 이르기까지의 상이한 단계의 변천사를 전시하고 있다.
영덕 대설산 고차수 (永德大雪山高大的古茶树)


(3) 영덕(永德) — 임창(临沧) 서북부에 위치
차나무는 관엽목란(宽叶木兰)에서 중화목란(中华木兰)으로 진화되어 왔다고 알려져 있는데, 2,3천만년 전의 차나무 시조인 중화목란(中华木兰)이 영덕현(永德县)에서 발견된 이래 오랜 역사를 지닌 영덕(永德)은 “만차귀종(万茶归宗)”의 지역으로 불린다.
유명 차산 : 망폐산(忙肺山), 명봉산(鳴鳳山), 매자천(梅山菁), 방우장(放牛場), 대암방(大岩房), 팔병암(八丙岩), 만래(曼來), 소방귀(小幫貴), 장태(章太) 등등.
영덕현 소맹통진 매자천촌(永德县小勐统镇梅子箐村) :

장태(章太) 선숙산(仙宿山)(대설산의 주봉으로 임창지구 최고봉이며 희귀종인 등자차(藤子茶) 생산) :
명랑 암안산 무가채(明朗岩岸山武家寨村):
면전자치구 과감(缅甸果敢) 또한 영덕(永德)은 운남에서 야생차림(野生茶林)의 면적이 가장 넓은 현(县)으로 그 면적이 11만묘(万亩) 이상에 이른다. 11개 향진(乡镇)에 모두 야생차수(野生茶树)가 있는데 특히 명랑(明朗), 오목룡(乌木龙), 아련 (亚练) 장태(章太), 대설산(大雪山) 등이 유명하다. 또 언급할 만한 곳으로는 10만여묘의 야생고차림(野生古茶林)이 있는 영덕 대설산 자연보호구(永德大雪山自然保护区)와 약 1.5만묘의 원시야생형 고차수(原始野生型古茶树)가 있는 당리산 원시삼림(棠梨山原始森林)이다. 망폐차산(忙肺茶山)도 영덕현(永德县)의 유명 차구(茶区)로, 이 곳에는 수령이 기본적으로 80년 전후 되는 맹판망폐군체종(勐板忙肺群体种)이 생장하고 있다. 망
폐차(忙肺茶)는 세간에서 영덕의 차중왕(永德茶之王)으로 불리기도 한다.
대설산 만래 고차산(大雪山曼来古茶山)과 반카향 방우장 고차산(班卡乡放牛场古茶山)도 비교적 유명하다.


맹고 고다원(勐库古茶园)


(4) 쌍강(双江) — 임창(临沧) 남부
쌍강현 전체 다원(茶园) 면적은 6.8만묘(万亩)이다. 그 중 맹고진(勐库镇)은 보이차(普洱茶)의 가장 중요한 종(物种 : species) 유전자 보고로 불리며 이 곳에서 탄생한 맹고대엽종(勐库大叶种) 차(茶)가 현재 가장 유명한 운남대엽종(云南大叶种) 차(茶)이다.
가장 대표적인 야생차수(野生茶树) 자원은 맹고 야생차수 군락(勐库野生茶树群落)과 고다원(古茶园)이다. 천년 야생 고차수 군락지(千年野生古茶树群落地)는 대설산(大雪山) 중상부에 있으며, 그 분포 면적은 약 1.2만묘(万亩)이다. 맹고 대설산 야생차수 군락(勐库大雪山野生茶树群落)은 현재 (중국) 국내외적으로 알려져 있는 차나무 중 해발 고도가 가장 높고 (식재)밀도도 가장 높은 대리차종(大理茶种) 군락이다.
가장 대표적인 고다원(古茶园)은 맹고진(勐库镇) 빙도촌(冰岛村)의 빙도 고다원(冰岛古茶园)으로 이미 500년이나 되었다. 빙도차(冰岛茶)의 재배 지역은 주로 쌍강현(双江县) 맹고진(勐库镇) 대설산(大雪山) 중하부의 빙도촌(冰岛村), 공롱촌(公弄村) 및 대중산(大中山) 등지이다.
원래는 맹고 대설산(勐库大雪山) 야생고차수(野生古茶树) 군락(群落)과 같은 품종이었으나 선주민이 인공적으로 순화 및 진화시킨 약간의 야생재배성(野生栽培性) 차나무들은 임창(临沧) 경내의 광대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방마산맥(邦马山脉)을 따라 북에서 남으로, 즉 임상구(临翔区)에 속하는장태(章驮), 남미(南美), 파각(坡脚)과 빙도(冰岛), 맹고(勐库) 등을 잇는 일직선 상에 많이 분포한다.


(5) 경마(耿马) — 임창(临沧) 서남부에 위치
야생고차수(野生古茶树) 군락지가 5.7만묘(万亩) 정도 되는데 특히 대청산 자연보호구(大青山自然保护区) 내에 3만묘가 있다. 망홍향(芒洪乡) 대랑패(大浪坝) 등지와 망홍향(芒洪乡)의 원시삼림 지대에도 고차수 군락(古茶树群落)이 있다.


(6) 임상구(临翔区) — 임창(临沧) 중동부에 위치
운남성 1급 우량종 고차수(古茶树) 군락지가 2만묘(万亩) 정도로, 방동 대엽차(邦东大叶茶)는 방동향(邦东乡)이 발원지이며, 야생차수(野生茶树)는 남미향(南美乡)과 방동향(邦东乡) 대설산(大雪山) 등지에 분포하는데, 유명한 석귀(昔归), 망록(忙麓) 등의 고수차(古树茶)는 바로 방동향(邦东乡)에서 생산된다.


(7) 창원(沧源) — 임창(临沧) 서남부에 위치
차를 채집하는 풍경이 그려져 있는 3000년 이상 된 암각화(古老崖画)가 유명하다. 고차수(古茶树) 군락지의 면적은 약 3만묘(万亩) 정도인데 그 중 단갑(单甲), 나량(糯良)의 두 향(乡)에 가장 많고, 나량향(糯良乡) 대흑산 고차산(大黑山古茶山)이 유명하다.


(8) 진강(镇康) — 임창(临沧) 서부
가장 유명한 고차수(古茶树) 중의 상당수는 “진강대산차(镇康大山茶)”로서 ,명대(明代)에 만전차(湾甸茶)는 최고의 명성을 누렸는데,진강(镇康) 북부 지역은 바로 이 맹통만전차구(勐统湾甸茶区)의 일부이다. 마안산(马鞍山) 차는 진강에서 가장 좋은 차라는 풍문이 있다.


4. 보산(保山) 및 기타지구 고차수 분포


보산(保山)은 난창강 유역이 아니다. 현재 보이차 생산지 측면에서 보면 보산에서 생산된 쇄청모차는 그다지 중시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현재 보산지구에는 적지 않은 재배형 야생 차수 구역이 있으며 또한 완전히 개발되어 있지 않아 이미 과도 채적 상태에 있는 서쌍판납의 맹랍, 경홍, 맹해 등지에 비해 차의 품질이 아주 좋다. 고차수의 분포 면적은 약 1.5만묘(万亩)로 재배형 고다원이 비교적 집중적으로 분포하며 대표적인 차산으로 등충현 패외(坝外) 고다원, 상영(上营) 문가당(文家塘) 고다원 및 창녕(昌宁) 망수향(漭水乡) 황가채(黄家寨) 고다원이 있다. 더우기 고려공산(高黎贡山)계의 고차수는 구감(口感)이 비록 여타 3대 차구의 차품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차기(茶气)가 양강(阳刚)하고 산운(山韵)이 순정(纯正)하여 진귀한 고차수 자원이라 할 것이다.
이 외에도 덕굉주(德宏州)의 노서(潞西), 서려(瑞丽), 양하(梁河)를 비롯하여 홍하주(红河州)의 원양(元阳), 금평(金平) 그리고 문산주(文山州)의 광남(广南), 마관(马关), 마율파(麻栗坡) 등 덕굉(德宏), 홍하(红河),문산(文山) 지역에도 고차수(古茶树)가 분포되어 있다. 비록 이들 지구의 야생차수군락과 고다원의 분포 면적이 지는 않으나 여기에는 비교적 많은 종류의 운남 야생차(茶组)가 분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