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는 피요, 고기요 생명이다" 티베트에 내려오는 오랜 속담이란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티베트 인들은 세계 어느 민족 보다 차를 즐겨마시는 민족이다.

이들에게 차는 생명수이다.

찻물과 야크버터 넣고수유차를 만드는 돔부(대나무 찻통)

이들은 보통 하루 수십잔의 차를 마셔댄다. 그러나 이들이 마시는 차는 우리가 마시는 맑은 차와는 거리가 있다.

이들이 마시는 차는 찻물에 야크버터를 넣은 수유차이다.

돔부에 가락을 꽃아 100번 이상 저어야 수유차가 된다.

수유차를 만드는 방법

1. 덩어리 발효차를 끓여낸 찻물을 넉넉히 준비한다.

2.야크버터와 약간의 소금을 함께 준비한다.

3. 돔부라고 불리는 찻통에 뜨거운 찻물과 버터 그리고 약간의 소금을 함께 넣어 섞는다.

4. 돔부에 가락을 넣어 100이상 저어준다.

5. 만들어진 차를 주전자나 보온병에 담아 따라 마신다.

티베트에서 수유차를 마시는 모습
수유차와 수유차를 만드는 모습
티베트의 야크버터 상점과 야크버터을 소분하는 모습

 

야크버터

수유차를 만드는 법

1. 물 500ml에 찻잎 8g 정도를 넣고 끓여 찻물을 만든다. 이때 찻잎은 녹착, 장차, 흑차 모두 괜찮고 양도 균일하다.

2. 차통 (돔부)에 찻물 500ml을 넣고 수유 버터 20g 정도를 넣고 잘 섞이도록 교반을 해준다. 찻물과 수유버터의 량은 비율대로 마추되 개인의 취향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3. 잘 교반이 되었으면 주전자에 따라내어 적당량의 설탕이나 소금을 더하여 준다.

4. 개인의 취향에 따라서는 우유를 첨가할 수도 있다. 첨가하는 우유의 량은 개인의 취향에 따른다.

이렇게 만들어진 것이 수유차이다. 수유차는 서장 특유의 것이다. 

만일 당신이 어느날 서장에 가서 티베트민족의 가정을 손님으로 방문하게 된다면 주인이 손님을 대접하는 제일 먼저의 동작은 탁자에 뜨거운 수유차 한대접을 내오는 일이다. 이는 하문사람이 한주전의 공부차를 내오는 것과 마찬가지 일 이다.

 

 

돔부에서 수유차를 주전자에 따른는 모습

전통 수유차는 열량이 매우 높아 일반 보이차에 비하여 몸이 따뜻해질 뿐만 아니라  찻잎에 함유된 비타민과 미네랄을 보충하는 효과가 있다. 춥고 건조한 고원지대에 사는 티베트 인에게는 딱 맞는 차가 바로 수유차이다.

수유차를 처음 맛보는 사람은 야크 냄새 때문에 고개를 가로젓지만 제법 고소한 맛 때문에 중독이 되고 만다.

이 맛에 길들여 지고나면 그냥 차는 밍밍하고 심심하여 되려 못마신다고 한다. 이들은 손님이 오면 의례 차를 내오는대 잔을 비우면 곹 바로 따라주는 것이 예의이다. 손님에게도 예의가 있어 잔을 완전히 비우지 않는 것이다. 잔을 완전히 비우는 것은 더이상 차를 마시지 않겠다는 뜻이고 이는 주인의 접대가 소흘했다는 것을 의미 한다고한다. 차와 접대는 좋은대 차를 마시지 않으려면 잔이 채워진 채로 마시지 않고 남겨 놓으면 된다.

전통 수유차 맛은 고소하고 향긋하다고 한다.

해발 4,000m 이상 고원지대에서 야크고기와 유제품 위주로 식생활을 하는 티베트 인들에게  소화를 돕고 장내 기름기를 제거하고 체액 분비를 촉진하게 하는 수유차는 더할나위 없이 훌륭한 음료라 하겠다,

특별히 티베트에서만 수유차가 대중화 된 것은 그 때문이다, 

수유차와 곁들어 먹는 티베트 전통 빵 _ 빠바- - 보통 아침 식사 대용

수유차와 비슷하게 만드는 창아모차도 티베트 전통차라고 할 수 있다.

창아모차는 야크버터가 아니라 야크 우유에다 덩어리 발효차를 섞은 것을 말한다  맛은 수유차와 비슷하다 (원료가 같으니까!) 또한 티베트에는 야크버터로만 만든 뵈차라는 것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보이차와 섞어 마신다.

수유차의 주원료 야크버터

중국문헌에는 지금으로 부터 약 3,000년 전인 기원전 1,700년(商,周 시대)부터 차를 재배하여 마셨다고 한다. 글쎄?

아안 장차의 모습

차 문화에 대한 중국의 자부심은 대단하다. 차의 원조 시조라고 생각하고 아편전재을 일으켰을 정도이니 이해할 만은 하다. 그러나 오랫동안 차를 재배하고 교역하던 운남 남부지역은 이전엔 중국에 속하여 있지도 않았을 뿐더러 차를 재배하고 유통시켰던 당사자도 다이족이나 하니족  같은 소수민족이다. 물론 뒤늦게 중국이 이들 지역을 정복하여 중국에 편입시켰으니 소수민족의 차문화를 중국의 차문화라 우기는 것도 이해는 되지만은 그들이 그토록 자부심을 가지고 자랑하는 차문화의 뿌리는 중원의 한족이 아닌 변방의 소수민족에 있었던 것 만큼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평범한 티베트 가정의 부억풍경, 항상 차주전자와 보온병이 보인다.